매주 화요일 직접 구워 어린이 공부방에 전달
주부 길보경(42·성동구 도선동)씨는 성동구청 여성대학이 배출한 제1호 제빵·제과기능사다.2001년 11월 ‘아이에게 먹일 빵을 직접 만들고 싶다.’는 욕심에 구청에서 개설한 빵만들기 강좌를 수강, 내친김에 기능사 시험에도 응시해 2년 전 자격증을 땄다.진형민(36·금호3가동)씨도 성동구청 제빵·제과교실 수료생이다.
강좌를 수강한 지 8개월 만인 지난 2월 제빵기능사 시험에 합격하는 영광도 누렸다. 큰맘 먹고 장만한 오븐으로 아이들 좋아하는 버터 쿠키를 구워내는 것이 진씨의 소박한 즐거움이다.
두 사람은 성동구 ‘제과·제빵 봉사단’에 소속돼 있다. 기능사 경력 3년차인 길씨가 단장이다. 단원은 55명. 모두 구청 제빵·제과반을 수료한 주부들이다.
●사랑으로 빚은 빵 1만 5000개
단원들은 매주 화요일 오전 9시면 행당동 소월아트홀 뒤에 마련된 조립식 가건물로 모여든다. 성동구의 20개 주민센터 공부방에 간식으로 전달할 영양빵을 만들기 위해서다. 단원들은 이곳을 ‘사랑의 빵공장’이라고 부른다.
10일 오전 ‘빵공장 여인들’은 금호3·4가동과 옥수1·2동 등 6개동의 공부방에 전달할 빵 300개를 만드느라 분주했다. 이날은 마침 봉사단이 설립된 지 1년을 맞는 날이기도 했다.
봉사단은 지금까지 5200여명의 공부방 어린이들에게 1만 5000여개의 빵을 빚어 전달했다. 만드는 빵의 종류는 매주 달라진다. 이날의 메뉴는 밀가루 반죽 안에 베이컨과 감자, 옥수수, 피자치즈를 섞어 넣은 뒤 오븐에 구워내는 베이컨빵.
길 단장은 “영양이 풍부한 대신 달지 않고 아이들이 평소에 접하기 힘든 빵을 주로 만든다.”면서 “그래도 맛이 없으면 아이들이 싫어하기 때문에 2주 전쯤 아들에게 시식을 시킨 뒤 반응이 시원찮으면 과감히 메뉴를 바꾼다.”고 말했다.
단원 모두 같은 또래의 전업주부들인 까닭에 빵공장은 곧잘 ‘수다 공장’이 되곤 한다.40대 초반의 한 단원은 “정치 얘기만 빼놓고 경제·사회·문화·교육 등 모든 분야가 화제에 오른다.”면서 “그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것은 속 썩이는 남편 흉보기”라고 귀띔했다.
●공부방 아이들 상대로 ‘제과·제빵교실’도
금요일 오후가 되면 빵공장은 ‘제과·제빵교실’로 변신한다. 단원들이 교사로 나서 결식 아동과 방과후 공부방 아이들에게 빵과 과자 만드는 법을 가르친다. 빵 만들기보다 밀가루 장난에 열심이던 장난꾸러기 아이들도 자신이 빚은 빵이 오븐에서 구워져 나올 때면 하나같이 숙연해진다. 가마에서 나오는 도자기를 앞에 둔 도공(陶工)같다고나 할까.
김형곤 성동구 아동청소년팀장은 “처음 봉사단을 꾸릴 당시 얼마나 많은 주부들이 참여할지 걱정했던 게 사실”이라면서 “봉사의 즐거움을 체험한 주부들의 입소문을 타고 지원자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빵공장’ 관리비와 시설유지비, 공과금 등 1000여만원은 성동구가, 재료비 2400여만원은 KT&G 복지재단이 후원한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7-11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