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거점 삼아 ‘대학 도시’ 발돋움
관악구의 지역발전 장기플랜이 윤곽을 드러냈다. 서울대를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아 교육·문화 기능이 특화된 서남권의 중심 자치구로 발돋움하겠다는 것이다. 관악구는 20일 서울시청 소공동별관에서 ‘관악 장기비전 전략계획’ 설명회를 갖고 서울대의 연구·교육기능을 적극 활용한 ‘대학도시(UniverCity)’ 발전 구상을 공개했다. 김효겸 구청장은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의 캠퍼스 기능을 시가지 곳곳에 배치해 대학·기업·지역사회의 협력과 상생을 이끌어낸 미국 케임브리지시를 모델로 삼아 서울대와 관악구의 지역융합을 통한 ‘윈윈’을 이끌겠다.”고 밝혔다.관악구의 구상은 공간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서울대의 교육·행정·복지시설 일부를 대학 울타리 밖으로 이끌어 내 주민과 대학이 자연스럽게 하나가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일종의 ‘융합 캠퍼스’ 개념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 정문에서 서울대입구역에 이르는 관악로 양쪽에 기숙사와 평생교육원 등을 유치하고, 고시촌으로 이어지는 신림로 일대는 대학문화 중심축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후문에서 낙성대역에 이르는 낙성대길은 첨단과학단지와 연구특구로 개발한다.
●대학·지역 교류 거점 ‘유니버시티 커먼´
특히 서울대 입구역 주변의 여관촌 일대에는 대학 행정기능의 일부를 분화시킨 ‘서울대 아웃렛(outlet)’이 조성된다. 학생들이 각종 증명서를 발급받고 도서 대출·반납도 가능한 일종의 ‘대학 행정분소’인 셈이다.
서울대가 추진하는 법인화가 이뤄질 경우 각종 국제교류 행사에 필수적인 대학 호텔도 이 일대에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구는 기대하고 있다.
또 음악·미술·건축·문학 등 서울대생들이 생산한 문화콘텐츠의 전시·유통공간을 만들어 20·30대 젊은이들을 몰려들게 하면 주변에 카페촌 등이 자연스럽게 형성돼 대학상권도 활성화되지 않겠느냐는 게 관악구의 전망이다.
●2020년까지 2600억원 투입
3개의 특화가로가 만나는 서울대 정문 앞은 대학·지역의 교류 거점인 ‘유니버시티 커먼(UniverCity common)’으로 조성된다. 녹지광장과 대중교통 역사, 교육·연구·문화·상업시설 등을 유치해 서울대와 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김 구청장은 “지상에는 연구공원을 만들고 지하는 자연채광이 간능한 선큰 테라스형 컨벤션홀과 함께 첨단 연구시설을 입주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악구와 함께 ‘장기 비전’ 마련에 참여했던 최막중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이번 구상의 핵심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울타리를 없애 주민과 함께하는 대학, 대학과 함께 하는 지역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악구는 장기 비전의 실현을 위해 2020년까지 최소 2600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한다. 시 도시기본계획과 서울대의 장기발전계획과도 연동돼 추진될 수밖에 없는 만큼 서울시·관악구·서울대의 3자협의체 구성도 필수적이다.
김 구청장은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서울대 발전기금을 활용하면 사업비 조달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8-21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