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항이 더 경제적” vs “지역경제 죽이기”
인천항 내항에 있는 국제여객터미널을 남항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추진되자 상인 및 주민들이 지역경제 몰락을 들어 반발하고 있다.6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시행한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이전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편익비율이 1.09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항만공사는 현재 국제여객터미널은 제1터미널(연안부두)과 제2터미널(내항)로 이원화돼 출입국 업무수속이 중복되는 등 이용자들의 불편이 큰 점을 통합이전 당위성으로 내세우고 있다. 터미널이 좁아 늘어나는 한·중 카페리 여객 수요를 소화하기 힘든 데다, 선박이 갑문을 통과하도록 돼 있어 운항시간이 길어지는 점도 원인이다.
●항만공사 “수속불편… 이전 불가피”
항만공사는 국제여객터미널을 내년 하반기에 남항 아암물류2단지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우고 예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새 국제여객터미널은 민자 4268억원을 포함,5367억원을 투입해 2014년까지 5만t급의 여객부두 7선석과 터미널 1동, 배후부지 등이 조성된다.
터미널 주변의 상인과 주민들은 터미널이 이전되면 지역경제의 몰락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안 없는 국제여객터미널 이전은 허용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인천내항살리기 대책위원회’ 관계자는 “터미널이 이전되면 구도심 상권의 몰락은 물론 차이나타운, 월미관광특구 등 주변의 상권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충분한 준비와 주민의견 수렴 없이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전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주민들은 국제여객터미널이 불편하다면 투자를 통해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해 사용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중구의회·주민 “상권 몰락”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국토해양부에서 내항 재개발에 대한 용역을 실시 중이며, 내년에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터미널 활용방안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8-10-7 0:0: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