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거꾸로 공원’ … 표지판·그네·나무 등 파격 조성
모든 게 거꾸로다.입구 표지판부터 좌우가 뒤집혀 있다.시계도,그네도,심지어 나무마저도 거꾸로 심었다.왜 그럴까? 여기가 바로 ‘거꾸로 공원’이기 때문이다.27일 오후 4시 서대문구 북가좌동 주택가.서대문구가 2년여에 걸쳐 완공한 이 파격적인 공원을 보고 아이들은 신이 났고,할아버지·할머니들은 놀라 눈이 휘둥그레졌다.구는 이처럼 전형적인 바둑판 놀이터 틀에서 벗어나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는 특색 있고 다양한 테마공원을 만들고 있다.
●바둑판 놀이터 탈피한 테마공원으로
‘거꾸로 공원’은 서부중앙시장 인근에 10억여원을 투입,연면적 1225㎡(340평) 규모로 조성됐다.공공기관으로는 드물게 디자인 개념을 도입했다.아이들이 응용력을 기르고,역발상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신기하고 과학적인 놀이기구로 공간을 채웠다.
중앙에 위치한 커다란 ‘조합 놀이대’는 집이 거꾸로 땅에 박힌 모양이다.미끄럼틀과 구름다리,밧줄타기,미니암벽 등이 한데 조합돼 있어 ‘조합 놀이대’라 불린다.노인들은 가옥이 마치 천재지변으로 곤두박질친 듯한 모습에 충격을 받았는지 “세상에 이게 뭐야.”라면서 눈을 떼지 못한다.
놀이대 바닥은 탄성 고무칩이 깔려 있다.
어린이들이 놀이대에서 떨어져도 다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재질로 만들어 꽤 폭신하다.놀이터를 만들 때에는 의무적으로 이 고무칩을 설치해야 한다.놀이기구의 높이에 따라 푹신한 정도를 높여 한국생활시험연구소에서 인증을 받아야 한다.
눈을 돌려 주변을 둘러보니 뿌리가 하늘을 향한 하얀 나무가 눈에 띈다.물론 고목(枯木)이다.껍질을 벗겨 뒤집어 심은 아카시아 나무란다.나무에 매달린 시계도 반대로 돌고 있으나 역으로 생각해 보면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다.
정문 입구 왼편에는 ‘도깨비 도로’가 있다.제주도에 있는 그 도깨비 도로를 본떠 만들었다.볼 때엔 오르막길인데 걷다 보면 내리막길이다.주변 사물을 비스듬히 심어 착시를 일으키는 원리다.
●인공폭포·생태체험학습 등 다양
구는 최근 민원이 끊이지 않던 홍제동 내부순환도로 아래에도 수변공원을 설치했다.인공폭포,실개천 등 수경시설을 조성해 음지에서 잘 자라는 회양목 등 키 작은 나무 4600그루와 관중 등 초화류 1만 5000여 뿌리를 심었다.
또 구청 뒤편 안산 진입로에 2000㎡ 규모의 자연친화적 체험학습장을 새로 단장했다.생태연못을 확장하고 나팔꽃,조롱박,참박 등 ‘향토작물 꽃터널’ 등을 설치,교육공간으로도 활용 중이다.천연동 감리신학대 콘크리트 옥상 377㎡에 방수와 배수판을 깔고 쉼터를 만들고 나무를 가득 심어 푸른 휴식공간으로 꾸몄다.
그네 몇 개 걸리고 철봉 한두 개 있는,밤만 되면 을씨년스러운 흔한 동네 놀이터가 아니라 가족쉼터로 휴게공간으로 아이들의 상상력을 키워줄 만한 테마가 있는 문화공원이 바로 내 집 앞에 생기는 셈이다.
조준수 푸른도시과 과장은 “서대문에 있는 90여곳의 놀이터를 테마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도 어린이들의 감성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문화공간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8-11-28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