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기관장 임명전 인사 단행… 현대미술관도 내홍 조짐
노무현 정부의 ‘코드인사’로 분류된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과 김정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은 새정부가 들어서자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불명예 퇴진했다.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은 심동섭 기획운영단장이, 예술위는 오광수 위원이 각각 관장 및 위원장 대행을 맡고 있다. 새로운 기관장이 오기 전까지 조직을 잘 관리해야 할 두 대행이 전격적으로 인사권을 행사하고, 과감한 운용발표를 해 내부조직의 반발에 직면했다.밖으로 문제가 확연히 드러난 곳이 문화예술위다. 오광수 위원장 대행은 지난 9일 사무처장에 윤정국 전 충무아트홀 사장을 임명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이례적으로 “노조의 불법행위로 규정하고 강력히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대미술관도 내홍의 분위기가 감지된다. 심 대행이 덕수궁 분관에서 근대미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로 계약한 학예사들을 과천 미술관으로 인사를 낸 것이다. 이같은 인사는 학예사의 전문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미술관의 활동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안팎의 우려를 사고 있다.
또한 행정직인 심 대행은 최근 덕수궁 분관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근대미술걸작전’의 도록에 대행이란 꼬리표를 떼고 버젓이 ‘국립현대미술관장’으로 적시해 놓았다. 대행 꼬리표를 떼기 위해 미술관 관계자들과 수차례 회의를 하는 등으로 무마에 나서기도 했다는 것이다.
대행들의 ‘월권’에 문화계 관계자는 “문화 기관의 대행들이 문화부의 입김을 떨쳐 내지 못해 사단이 나고 있는 것”이라면서 “문화부가 기관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간섭을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09-1-15 0:0: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