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초부터 추진된 수인선은 송도 구간의 지하화 문제 등으로 시련을 겪다 2005년 어렵게 착공된 뒤에도 인천 신포동 상인들의 노선변경 요구, 연수역의 이전문제 등으로 사업자와 주민 또는 주민들간의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인천 논현 택지지구 주민들이 수인선에 대한 소음 및 진동 대책을 요구하고 나서 ‘민원의 보고(寶庫)’라는 지적마저 일고 있다. 논현 주민들은 고가철도 형태로 아파트 남쪽을 지나게 될 수인선의 소음·진동으로 “주거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된다.”며 돔형 방음벽을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처음부터 기준치 이하의 소음과 진동을 고려해 설계됐다.”며 뒤늦은 민원 제기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공단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당시 장대 레일과 방진 매트, 방음벽 등이 설계에 반영된 만큼 돔형 방음벽 설치로 설계를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인천 연수구 주민들은 연수 구간 4.52㎞가 지상으로 설계돼 있자 소음·먼지 등 환경공해를 들어 청학 지하차도 구간(1.11㎞)에 대한 지하화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연수역사 위치 문제는 연수구청장에 대한 주민소환과 민-민 갈등으로 비화되고 말았다.
청학동 주민들은 기본계획 당시 연수 고가도로 북쪽에 예정된 연수역이 사업승인 때 연수동쪽으로 변경되자, 이에 대한 환원을 요구하며 ‘인천 연수구 미래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구성한 뒤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구청장이 전철역 조정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며 오는 29일까지 남무교 연수구청장에 대한 주민소환 투표를 위한 서명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반대로 연수동 주민은 역사 위치 재조정에 반대하며 ‘수인선 조기완공 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대응에 나섰다. 이 때문에 다른 지역 주민들은 “수인선 전철이 들어선다는 얘기가 나온지 이미 15년이 넘었다.”면서 “소수 주민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전체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 만큼 정도가 지나친 민원 제기는 자제가 필요하다.”고 한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