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5일 “가정폭력이나 성폭력 등으로 고통받는 외국인 이주여성을 단기적으로 보호만 하던 ‘쉼터’와 달리 자립기반을 갖출 때까지 주거부터 육아, 보육, 기술교육, 취업 알선 등을 무료로 지원하는 ‘자활공간터(가칭)’를 국내 처음으로 건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총 20억원을 들여 총면적 660㎡ 규모로 지어질 자활공간터는 육아실(66㎡), 숙소(198㎡), 생활지원실(99㎡), 다목적 프로그램실(198㎡) 등을 갖춘 종합지원센터로 조성되며 30명 정도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
건립 예정지는 이주여성들의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성북구 정릉동과 양천구 목동, 동대문구 휘경동, 중랑구 묵동 등이 고려되고 있다.
현재 서울지역에는 민간이 운영하는 쉼터 2곳이 있지만 이 쉼터들은 이주여성을 위한 단기 보호와 법률·귀국 지원 등 한정된 기능만 담당하고 있다. 이들 쉼터는 모두 합쳐 정원이 24명에 불과하고 동반 아동에 대한 보육 프로그램이나 취업 교육과정 등이 없어 이주여성을 위한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서울시는 쉼터의 추천을 받거나 합법적 국내체류 허가자를 대상으로 3년 동안 종합지원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자활공간터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자활공간터 입소기간이 끝나면 공공주택 물량을 활용,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는 이주여성의 취업지원을 위해 여성발전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의 도움을 받아 한글과 한국의 생활문화 등도 강의한다. 정서적 안정을 위해 입소자 전문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문화 가정이나 한국인 가정 멘토를 지정, 마음을 터놓고 상담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내 첫 외국인 이주여성의 자활 종합지원센터 건립으로 상처입은 결혼이주 여성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9-5-6 0:0: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