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행안부에 따르면 올해 신규 임용된 수습사무관의 부처 배치를 마친 결과 일반행정직의 경우 성적이 상위 30% 이상 수습사무관 31명은 기재부와 행안부, 문화체육관광부, 국토해양부 등에 각각 5명씩 고르게 배치됐다.
이 밖에 감사원(3명)과 교육과학기술부(2명), 법제처(2명), 보건복지가족부(2명), 농림부(1명), 지식경제부(1명) 등의 순으로 배정됐다.
교과부와 법제처는 지난해 상위 30% 이상 수습사무관이 1명도 배정되지 않았지만 올해는 2명씩 배치된 게 눈에 띄었다. 반면 복지부는 지난해 5명에서 올해는 2명으로 줄어들었다.
행안부는 또 올해의 경우 상당수 수습사무관이 그동안 비인기 부처였던 국방부를 선택, 이색적이었다고 덧붙였다.
현재 수습사무관의 부처 배치는 행시와 교육원 성적 등이 우수한 사람부터 진행되기 때문에 상위 30%의 부처 배치 결과는 수습사무관 전체의 부처 선호도라고 볼 수 있다.
행안부는 올해의 경우 부처 배치 시 성적뿐 아니라 자격증이나 인터뷰 점수까지 반영하는 ‘맞춤형 부처배치’ 제도를 시행, 수습사무관들의 선호 부처가 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제도 도입으로 인해 수습사무관들은 이전과 달리 최고 3곳의 선호 부처를 선택할 수 있게 됐고 부처 배치도 고른 분포를 보였다는 것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부처 쏠림 현상이 사라지는 등의 효과가 나타난 만큼 각 부처가 ‘맞춤형 부처배치’를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09-11-5 12:0: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