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대해 전북도와 군산시 등은 19년 만에 완공한 방조제를 다시 헐어 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새만금 매립토 운송방안으로는 ▲방조제 외측에서 펌핑 ▲경포천 운송수로 건설 ▲방조제에 통선문 설치 등 3개 유형이 제시됐다.
운송비는 4호 방조제 전면 해상을 준설지로 하고, 골재운반선은 6000t급, 운송기간은 10년을 기준으로 산정됐다.
수공이 밝힌 운송비는 방조제 외측에서 대형 관로를 설치해 새만금 내부로 토사를 펌핑할 경우 ㎥당 1만 6892원 총 8조 4400억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됐다.
경포천~만경강~새만금을 잇는 수로 16㎞를 건설해 골재를 운반할 경우에는 ㎥당 운송비가 8439원으로 펌핑보다는 낮아지지만 총사업비가 5조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가장 경제적인 방안으로 제시된 통선문을 통한 운송의 경우 ㎥당 5907원 총 3조 7400억원이다. 4호 방조제 구간에 폭 29m, 길이 163m 규모의 통선문을 2중 갑문 방식으로 건설하면 관광자원화가 가능하고 경제성도 높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전북도와 군산시는 통선문 설치 방안을 적극 반대하고 있다. 군산상공회의소, 새만금 주변 섬 지역 이장단 등도 지난 12일부터 통선문 설치 반대 범도민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자치단체들은 19년 만에 어렵게 완공한 새만금 방조제를 다시 허물 경우 지역 여론이 악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통선문 설치-해수 유통-담수화 포기-개발 차질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전개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통선문을 설치할 경우 아직도 수그러들지 않은 해수유통론이 다시 거론되고 이에 따른 환경논쟁이 재발될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해수유통 방안이 결정될 경우 어렵게 마련된 새만금 내부개발 방안이 전면 수정돼야 하고 개발기간도 지연될 수밖에 없게 된다는 분석이다. 새만금 매립공사가 끝날 경우 통선문을 시화호처럼 조력발전용으로 쓰면서 새만금 담수호를 포기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전북도와 군산시는 경포천 수로를 최적의 방안으로 제시했다.
군산시가 구상해온 경포천 정비사업도 추진하면서 방조제를 헐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오는 9월쯤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새만금 매립토 운송방안을 결정할 방침이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0-07-15 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