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수자원공사는 1987년 홍수(6시간 최대 강우량 258㎜)와 이번 홍수(6시간 최대 강우량 209㎜)가 비슷한 규모임에도 이번 피해가 현저히 적은 것은 경인아라뱃길 방수로 기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987년에는 굴포천 중·하류 전지역(3767㏊)이 침수되고 사망자 16명, 이재민 5427명이 발생했지만 이번에는 도심 일부 주택만이 침수돼 이재민이 15가구 25명에 그쳤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21일 오후 4시를 기해 서해만조(El 3.52m)가 형성돼 굴포천유역 홍수량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었으나 굴포천유역 총 홍수량 1658만㎥ 중 87%인 1437만㎥를 경인아라뱃길(굴포천 방수로)을 통해 서해로 방류시켜 굴포천유역 21㎢의 침수를 막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인천 계양·부평·서구지역 저지대 주택침수가 발생한 것은 시간당 60mm 이상의 집중호우로 내수방제 처리용량이 부족해 발생한 피해라고 설명한 뒤 내수방재 시스템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09-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