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변전소·환기구 안 된다”… GTX 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한강서 윈드서핑·요트·카누 즐기세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산불 예방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 일부 시군 늑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공항 승객 “비행기 이착륙 때 창문 덮개 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울산 해수욕장 앞 방파제 애물단지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해수욕장 앞 방파제는 과연 필요한 것일까.

울산지역 해수욕장 앞에 설치된 방파제(테트라포드)가 조류의 흐름을 막으면서 바닷속 모래를 백사장으로 옮겨 수심을 깊게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울산 동구에 따르면 2002년 31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일산해수욕장 앞에 길이 200m 규모의 테트라포드 방파제를 설치했다. 인근 일산진마을을 태풍과 해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 그러나 이후 조류의 흐름이 바뀌면서 최근 몇 년 새 바닷속 모래가 백사장에 언덕처럼 쌓여 해수욕장의 기능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 앞에서 설치된 테트라포드 방파제. 동구가 2002년 일산진 마을을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했다.
울산 동구 제공



이에 따라 동구는 매년 피서철을 앞두고 수백만원의 예산을 들여 백사장 정비작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별무소득이었다. 정비작업 효과는 1년 이상을 넘기지 못하면서 매년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모래가 쌓인 해수욕장 백사장의 정비작업을 하지 않으면 해수욕장 기능을 잃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테트라포드를 철거하면 일산진마을의 해일 피해 등이 우려돼 철거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인공시설물을 설치할 때 충분한 사전 분석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해양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인공시설물을 설치할 때는 주변 환경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공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상대학교 배기성 해양토목공학과 교수도 “주요 원인으로 테트라포드 방파제만을 꼽을 수는 없다.”면서 “전국의 연안 및 해수욕장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연안 지형의 변경과 도로 개설 등 복합적인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1-01-28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