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무게 버틴 78m 다리 자연 모습 그대로의 소탈함
봄을 재촉하는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린 3일, 다가오는 봄을 한 발짝 먼저 만나려고 청계천 하류에 있는 성동구 행당동 ‘살곶이 다리’로 발길을 옮겼다.한가로이 새봄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인공적으로 꾸며진 화려한 청계천 상류보다는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지닌 소탈한 하류가 더 어울린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살곶이 다리에서 청계천 고산자교 문화광장으로 이어지는 2.6㎞의 산책로는 여유롭게 봄기운을 만끽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사적 160호… 조선시대 가장 긴 다리
먼저 600년을 굳건히 버텨 온 다리에 올랐다. 청계천과 중랑천 하류가 만나는 곳에 놓인 이 다리에는 벌써부터 푸릇푸릇한 봄이 낯선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천변의 갈대 사이로 푸른빛이 군데군데 솟아난다.
사적 제160호로 지정된 이 다리는 멀리서는 조그맣게 보였는데 막상 올라가니 폭 6m에 길이 78m로 작지 않았다. 14 20년(세종 2년)에 공사를 시작해 63년 만인 1483년(성종 14년)에 완공한 조선시대 가장 긴 다리였다고 한다.
세월만큼이나 사연도 많다. 태조 이성계가 ‘왕자의 난’으로 형제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태종 이방원을 몹시 미워해 함흥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마중 나온 태종을 향해 화살을 쐈고, 그 화살이 태종이 있던 그늘막에 꽂혔다는 일화를 간직한 곳이다. 화살이 날아와 꽂힌 곳이어서 원래 불리던 제반교(濟盤橋)를 버리고 ‘살곶’이라는 살가운 이름을 얻었다.
●화살이 날아와 꽂힌 곳이라 ‘살곶’
또 1869년 흥선 대원군이 이 다리의 반을 헐어 경복궁을 짓는 돌로 사용해 이후 100여년 동안 다리가 폐쇄된 아픔도 있다. 1972년 서울시에서 헐린 다리를 복원했으나 원형을 오롯이 되살리지는 못했다. 그래서 행당동 쪽 다리 반쪽만 원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인근에는 엑스게임과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는 살곶이 체육공원이 자리해 자녀와 함께 운동에 나서기에도 적합하다. 바로 옆에 있는 살곶이 조각공원으로 건너가면 ‘남매상’ 등 10여점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남매상은 한양여대 의상디자인 동아리인 ‘페레크’ 학생들이 두달에 한 번씩 계절에 맞는 옷을 직접 디자인해 갈아입힌다.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한 지리산 산수유길과 담양 대나무숲, 매화거리 등도 만날 수 있다. 살곶이 다리에서 청계천 고산자교 문화광장까지 천천히 걸어도 2시간이면 충분하다. 살곶이 다리 인근에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3번 출구)이 있어 교통도 편리하다.
글 사진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1-03-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