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새 10배가량 늘어… 홀몸노인 가구는 8배↑
서울시내 ‘나홀로 가구’가 4가구 중 1가구꼴로 나타났다.31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 웹진 ‘e-서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현재 351만 6745가구 중 1인 가구가 83만 8114가구로 23.8%를 차지했다.
총 가구는 1980년(183만 6903가구)과 비교해 2배쯤 늘었지만 8만 2477가구였던 1인 가구는 30년새 10배쯤 늘었다. 특히 1인 가구 중 미혼 가구는 1985~2005년 9만 8896가구에서 4.1배인 41만 310가구로 늘었고 65세 이상 홀몸노인 가구는 1만 1632가구에서 9만 4855가구로 8배 이상 증가했다. 1인 가구 증가는 만혼화 및 결혼율 감소세와 이혼 및 혼자 사는 고령자 증가 때문으로 풀이됐다.
1990년 10만 3843건이던 혼인건수는 2009년 6만 8841건으로 줄었다. 초혼 평균연령도 남성 32세, 여성 29.6세로 1990년에 비해 남성은 3.7세, 여성은 4.1세 높아졌다. 이혼건수는 1990년 1만 2432건에서 2009년 2만 3920건으로 2배쯤 늘었고 65세 이상 노인가구 중 홀몸 가구는 1985년 11.8%에서 2005년 24.1%로 급증했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어하지 않는 65세 이상 인구도 2006년 71.1%였지만 2009년 77.9%로 6.8%포인트 뛰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1-04-0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