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간부회의 개방 배려가 소통의 시작”
여성 지도자들에겐 흔히 ‘세심한 리더십’, ‘부드러운 카리스마’란 수식어가 흔히 따라다닌다. 하지만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부각되는지 실체가 모호한 것도 사실이다. 어쩌면 남성 중심의 조직 문화에서 여성 지도자들을 치장하기 위한 자구책에 불과할 수도 있다.최근 송파구 수장 박춘희(57) 구청장이 주관하는 아침 확대간부회의를 참관했다. 구청 간부 및 지역 동장들이 모두 참가하는 큰 자리다. 과연 여성 리더의 세심함이 무엇인지, 부드러운 카리스마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실체를 낱낱이 추적(?)해 봤다.
●회의 인사말로 “사랑합니다”
“옆 사람에게 ‘사랑합니다’란 말을 나눠볼까요.”
딱딱해지기 십상인 공무원 회의장. 회의 시작에 앞서 박 구청장은 먼저 옆사람에게 이렇게 인사하기를 권한다. 구청장 취임 때부터 계속 해 왔던 인사법이란다. 주로 중년 남성들이 많은 회의장에서 이런 인사가 다소 어색해 보이기도 하지만 “사랑합니다.”라는 한마디 덕분에 화기애애해진다. 금세 환해진 분위기 속에 이어지는 과장과 동장들의 현안보고가 쏟아진다. 보고가 모두 끝난 뒤 나오는 박 구청장의 지적도 조심스럽다.
“앞으로 보고 순서를 바꿔 볼까요? 과장이 아니라 동장부터 보고하는 걸로요. 과장들은 평소에도 제게 보고를 많이 하시니까 동장만큼 긴장하시진 않으시니까요. 발표를 안 해 버릇한 사람은 자신이 발표할 때까지 긴장돼 앞사람 말이 귀에 들어오기 어렵잖아요.”
그리고 출석을 부른다. 물론 모든 참가자를 부르는 게 아니다. 오늘 간부회의를 처음으로 참관하러 온 직원들의 이름을 일일이 부르며 얼굴을 확인하는 것. 박 구청장은 간부회의에도 7급 이하 직원의 신청을 받아 15명의 직원들이 지켜보도록 하고 있다. 명칭은 간부회의지만 결국 전 직원, 더 나아가 송파구민의 회의라는 이유에서다. “오늘 회의를 참관한 일반 직원분들은 오늘 회의를 보시고, 건의할 부분이 있으면 망설이지 마시고 언제든지 절 찾아주세요.”
회의가 끝난 뒤 구청장 집무실을 찾았다. “인상 깊은 회의였다. 여성 리더십의 실체를 확인했다.”고 웃으며 인사를 건네자 “안 그래도 삭막한 세상인데 회의라도 부드러워야죠.”라고 농으로 받아넘겼다.
물론 이것만이 이유는 아닐 터. 박 구청장은 세심한 배려가 구정의 첫 시작이라고 강조한다. “세심한 곳까지 배려하지 않으면 인식도 변화하지 않는다고 봐요. ‘사랑합니다’란 말로 딱딱한 회의장을 화기애애하게 만드는 것, 하급 공무원들도 간부의 성역(聖域)이라 불리는 간부회의의 문호를 개방하는 것, 이게 소통의 시작이죠. 구청장이 섬세하게 신경을 써야 소통이 시작되는 겁니다. 지도자는 소통을 논하기 전에 모든 조직원이 평등하다는 걸 몸으로 보여 줘야 한다고 봐요.”
박 구청장은 이런 ‘배려 마인드’를 그간 고생한 기억 속에서 배웠다고 했다. 고생을 해 봤기 때문에 남 힘든 것도 잘 알게 됐다는 얘기다. 사실 그는 사업을 접고 38세에 사법시험 준비를 시작, 2002년 48세 때 합격한 ‘9전 10기’의 주인공이다. 여성 최고령 합격자 타이틀도 가지고 있다. “마음 고생이 심했죠. 경제적으로 어려워 포기하기로 마음먹기도 했는데, 솟아날 구멍은 있었죠. 그때마다 아르바이트 자리가 구해져 마음을 가다듬고 공부에 전념했어요. 학원 고시반에서 관리·감독 아르바이트를 하며 공짜로 수업을 듣고, 고시생들 상담도 하고 그랬어요.”
●48세 女최고령 사시 합격
변호사 생활을 할 때도 당시 힘들었던 기억을 더듬으며 노인복지회관 등에서 무료 법률상담을 했다. 구청장을 맡은 뒤로는 연례적인 직능단체 간담회를 과감히 취소하고 소외계층부터 만났다. “모두들 어려운 사람들을 보면 막연히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제가 고생을 해 보니 더욱 진정성을 갖게 되더라고요. 그만큼 경험이 중요한 거죠. 이런 경험이 없었다면 배려의 중요함도 배우지 못했을 겁니다.”
최근에는 감사 편지도 곧잘 들어온단다. “어제 우편으로 편지를 받았는데 구청 직원이 너무 친절해서 고맙다는 내용이었어요. 구청장이 구민들을 위해 이렇게 더 노력해 달라는 내용이었죠. 그 직원에게 너무 고마웠고 크게 감동했습니다.”
글 사진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1-04-1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