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 지역의 노숙인은 지난 1월 말 기준 295명으로, 이 가운데 쉼터에 입소한 노숙인은 188명이고 나머지 107명은 거리에서 노숙생활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숙인은 수원·성남·안양·의정부 등지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번잡한 수원역에 전체 노숙인의 65.4%인 70명이 생활하고 있다.
수원역사 안팎에서 생활하는 노숙인들은 신문지 등을 차가운 길바닥에 깔거나 의자에서 아무렇게나 자고 있기 때문에 수원역이나 역사를 이용하는 시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역사 주변 환경정화에도 고민거리를 안겨 주고 있다.
경기도와 수원시는 쉼터와 같은 강제적 수용시설이 아니라 노숙인들이 자유롭게 쉴 수 있는 노숙인 전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협의를 하고 있다. 집단수용에 대한 강제성을 줄인 것이다.
30~40명의 노숙인이 잠을 자고 몸을 씻을 수 있는 가건물을 역사 밖에 짓는다거나 역사 안에 그런 공간을 마련하는 방법, 수원역 주변의 적당한 건물을 사들이는 것 등 여러 가지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얼마 전 수원역 주변을 찾아 노숙인 30여명과 대화를 나누고 “노숙인들이 따뜻하게 잘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라.”고 담당 공무원에게 지시한 바도 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