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지원 국민추천포상 심사위원장 인터뷰
“포상 자체보다 국민에게 안겨주는 감동이 우선이다. 시민들이 서로 칭찬하는 풍토가 정착됐으면 좋겠다.”행정안전부가 9일 국민추천포상 심사위원장으로 위촉한 강지원(62) 변호사는 국가표창보다도 ‘국민들이 깔아 주는 멍석’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했다.
●“장관 전화 받고 취지 좋아 흔쾌히 수락”
위원장을 비롯해 17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는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위촉식을 갖고 첫 회의를 열면서 본격적인 활동의 기지개를 켰다.
정부포상 국민추천제는 봉사, 기부 등 선행이나 사회에 귀감이 되는 일을 지속적으로 해 온 숨은 유공자들을 국민이 직접 추천해 포상하는 제도다. 2006년에 도입됐지만 그동안 사문화돼 있던 것을 행안부가 올해부터 다시 강화했다. 그간 훈포장이 각 부처 시각에 치우친 데다 공무원 포상만 남발된다는 지적도 국민추천제 재도입의 배경이 됐다.
초대 청소년보호위원장을 역임한 강 위원장은 매니페스토실천본부 상임공동대표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맹형규 행안부 장관의 전화를 직접 받고서 취지가 좋아 그 자리에서 흔쾌히 수락했다.”고 밝혔다. “특별한 이에게 주는 상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데서 봉사, 선행하는 분들을 국민 누구나 추천한다는 것 모두 의미 있다.”는 게 그의 평가다. 심사위원회는 행안부에 접수된 361건에 대해 공적사실 확인, 심사를 거쳐 포상대상자를 가려내게 된다. 이후 다음 달 말쯤 국무회의에서 최종 대상자가 확정된다.
강 위원장은 “공무원들이 그동안 사회 각계각층에 숨어 있는 일꾼들을 일일이 찾아내기는 힘들었을 것”이라면서 “우리 사회가 1등만 최고로 부각되고 행복지수는 세계 최저 수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이지 않는 데서 봉사하면서 자존감을 갖고 행복을 찾는 분들이 많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우리 사회가 봉사에 대한 저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외세 침략 때 이름 없이 나라에 몸바친 민초들이나 일본 지하철에서 취객을 구하고 숨진 고 김수현씨 같은 의사자들이 그렇다.
●“선행한 개인 환경도 꼼꼼히 살필 것”
그는 “의사자들이 세상에 알려지면 포상을 받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묻히기 마련”이라고 안타까워하면서 “심사기준으로 선행을 한 개인 환경을 꼼꼼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같은 공적이라면 어려운 형편에 있는 분, 남들이 기피하는 환경을 마다하지 않고 봉사한 분이 더 평가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상이라면 일단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이에 대해 강 위원장은 “저도 국민훈장 모란장, 홍조근정훈장을 받은 바 있지만 내가 받은 포상이 과연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었나 반문했던 적이 있다.”고 전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5-1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