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세계적 도심 속 철새도래지 밤섬에 가보니…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개발 위해 폭파됐던 섬 인적 끊긴지 43년만에 33종 새들 보금자리로

26일 오전 10시쯤 한강 아래밤섬을 찾은 낯선 손님들을 먼저 반긴 것은 허리춤까지 훌쩍 자란 갈대숲이었다. 가을이면 2m도 넘게 자라 속살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날 만남은 행운이었다. 홍수로 물이 가득 들어찼던 대지는 바둑판 같은 논바닥을 닮았다. 이따금 버드나무 위로 이름 모를 새들이 푸드덕 날아올랐다.


26일 서울 한강 밤섬 생태탐방 프레스 투어에서 오세훈(앞) 서울시장과 취재진이 밤섬을 둘러보고 있다. ① 도심 속 철새 서식지인 밤섬에서 오리알이 관찰됐다. ② 26일 도심 속 최대 규모의 철새 서식지인 한강 밤섬에서 민물가마우지들이 63빌딩을 배경으로 나무에 앉아 한가로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멸종위기 횐꼬리수리 등 서식

자살 실패로 밤섬에 불시착한 남자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김씨표류기’의 무대였던 밤섬. 서울 여의도한강공원 선착장에서 유람선 ‘한강르네상스호’에 올라 장화로 갈아 신고 구명조끼까지 갖춘 뒤 다시 7인승 순찰선을 타고 5분여를 달려 섬에 도착했다.

거친 물살과 섬 주변의 얕은 수심 때문에 유람선으로는 쉽게 닿을 수 없다고 류경기 한강사업본부장이 귀띔했다. 물이 많으면 섬 하나로 몸을 합쳤다가 줄어들면 ‘형제 섬’으로 돌아가곤 한단다. 위밤섬은 영등포구 여의도동, 아래밤섬은 마포구 당인동에 있다. 토사 퇴적으로 연평균 4200㎡씩 넓어지는데 현재 크기는 27만 3503㎡에 이른다. 1968년 한강개발에 따라 폭파됐다가 43년 만에 철새도래지로 자리매김하며 일반인들에겐 ‘치외법권 지역’이 됐다.

●27만여㎡… 연평균 4200㎡씩 증가

대규모 버드나무 군락지인 아래밤섬에선 5월이면 민물가마우지, 왜가리, 청둥오리, 괭이갈매기, 노랑딱새 등 많은 새들이 짝짓기를 한다. 2007년 28종에서 지난해 33종의 새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행은 원시림으로 둘러싸인 섬을 가로지르다 갈대숲에서 오리가 알을 낳은 둥지를 발견하는 행운을 덤으로 누렸다. 너무나 은밀한 안식처에 둥지를 틀어서 조심스럽게 다가가 가만가만 살펴야 했다. 얼마쯤 더 걸었을까. 한강 개발이 시작되기 전까지 62가구 443명의 주민들이 거주했던 땅에 ‘밤섬주민 옛 생활터’라고 쓰인 표석과 마주했다. 주위는 야생화와 갈대로 둘러싸여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으나 사람 키만 한 뽕나무들을 보며 사람이 살았다는 게 실감났다.

여의도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남단으로 발길을 돌리자 영화 ‘김씨표류기’의 주무대를 만났다. 영화처럼 파도가 철썩이는 하얀 모래사장이 1㎞ 남짓 이어졌다. 그러나 김씨가 모래사장에 ‘헬프’(Help) 대신 ‘헬로’(Hello)를 쓸 만한 공간은 위섬과 만나는 지점에 다다랐을 때에야 비로소 만났다. 대부분 강물이 들어차거나 수풀이 무성하게 자라 모래사장을 덮고 있었다.

한강본부 오형민(운영부 환경과) 주무관은 “구본무 LG 회장이 워낙 철새를 좋아해 저기 쌍둥이 빌딩 동관 30층에서 매일같이 망원경으로 밤섬을 관찰한다더라.”면서 “밤섬에 사람이 출입한다 싶으면 사무실로 즉각 신고할 만큼 철새 사랑이 지극하다.”고 말했다. 영화처럼 강 건너 아파트에서 달 관찰을 하는 망원경으로 밤섬을 바라보던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로 나온 여자 주인공과 오버랩됐다.

밤섬은 주기적으로 몸단장(대청소)을 한다. 때문에 영화처럼 자장면 봉지, 오리배, 그리고 익명의 쪽지가 담긴 와인병 같은 생활쓰레기는 찾아볼 수 없다.

이날 한강 서식어종 조사체험과 물고기 산란장 체험을 할 수 있었다. 인근에서는 황복, 쏘가리, 치리 등 39종의 어류가 발견되고 있다. 류 본부장은 “멸종위기종인 흰꼬리수리, 황조롱이, 참매, 말똥가리 등 보호가치가 높은 밤섬은 세계에서 드문 도심 철새도래지”라며 “1999년 8월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고 설명했다. 식물도 2007년 양버즘나무, 조팝나무, 애기똥풀, 큰달맞이꽃 등 178종이나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화같은 하얀 모래사장이 1㎞

오세훈 시장은 눈치알, 잉어알, 붕어알 등이 자라는 물고기 산란장 근처에서 그물을 끌어당겨 잡은 70㎝는 족히 돼 보이는, 팔뚝만한 잉어를 들어올리는 시범을 보이다 힘센 녀석들 때문에 물세례를 받았다. 주위에서 웃음이 터졌다. 장어와 참게도 잡혔다. 오 시장은 “개발이란 미명 아래 무인도 신세가 돼 버린 밤섬은 이제 자연성과 역사성을 회복하는 대표적인 생태공간으로 탈바꿈되고 있다.”면서 “현재 추진 중인 한강르네상스의 핵심 기치인 회복·창조와도 맞닿는다.”고 말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1-05-27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