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위에서 먹고 일하고 놀고 자고… 1000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년 뭉갠 부산롯데타워, 또 지연되나… 지역사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휠체어 끌어도, 무릎 아파도… 누구나 즐거운 ‘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알뜰교통카드 쓰던 경기도민 59% ‘경기패스’ 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테마로 본 공직사회] 공직 女風 거세지만… 승진 이끌어줄 ‘멘토’가 없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⑧ 여성의 고위공무원단 진출

공직사회의 여풍(女風)은 갈수록 그 기세가 맹렬하다. 지난해 5급 공채에서 여성 합격자는 전체 369명 가운데 163명으로 44.2%를 차지했다. 지난해 공무원 4급 승진 심사에서도 양상은 엇비슷했다. 여성이 전체 심사 대상자의 25%나 됐다. 올 초 신규 임용된 법관의 65%도 여성이었다.

여성계의 최근 여성정책 화두는 단연 ‘고위공무원단(고공단)의 여성 10% 균형 인사’이다. 이런 목소리에 대해 관가는 “시간문제”라고 대체적으로 시각의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올 3월 기준, 여성 고위공무원 비율은 전체 1510명 중 56명으로 3.7%에 불과하다.

그러나 근년 들어 여성 신입 공무원 수가 절반에 육박하고 있는 만큼 고위직으로의 진출도 시간에 비례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들이다. 외견상으로는 그런 해석이 나올 만하다. 지난 2002년 5급 공채 전체 합격자 370명 가운데 여성 합격자는 93명으로 25.1%에 그쳤던 것이 꾸준히 늘어나 2008년에는 거의 두 배 가까운 47.1%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산술적 결과와는 달리 여성 고공단 진입은 여전히 뚫기 힘든 ‘유리천장’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수적 열세는 벗어나고 있으나, 조직의 실제적 환경은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이다. 여성가족부의 한 여성 사무관은 “여성 공무원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냉정히 따져 ‘여성 프리미엄’을 더 이상 얻기가 힘들어졌다는 얘기이기도 하다.”면서 “그 어느 때보다 탄탄한 인적 네트워크와 여성으로서 개성 있는 리더십이 요구되는 시대가 온 것”이라고 말했다.

여성 공직자들의 고공단 진출이 어려운 주요 배경은 뭘까. 남녀 할 것 없이 공직사회 내부에서 내놓는 풀이는 대체로 “(이끌어줄) 멘토가 없다.”는 것으로 압축된다. 고용노동부의 한 여성 사무관은 “대학 입시, 각종 고시에서 우위를 점한 ‘알파 걸’들이 사회로 진출한 뒤 ‘알파 우먼’으로 연결되기 어려운 까닭과 같은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하며 “여성 선후배가 소통하는 멘토 문화가 절실한데, 현재로선 고위직의 여성 선배가 태부족이어서 여성 중간간부들에겐 당장 옆에서 본보기 삼을 역할모델 자체가 없는 셈”이라고 토로했다.

공직사회도 일반 기업들의 여성임원 육성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은 그래서 나온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원홍 연구위원은 “최근 KT는 차세대 여성리더 육성과 여성임원 비율을 높이기 위해 멘토링(지도자의 1대1 조언) 제도를 마련해 선배들의 경험을 공유하며 여성리더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가까운 선배의 지도편달은 결국 승진에 음양으로 실질적 역할을 하게 마련이라는 부연설명이다. 이 같은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현실은 이상과 한참 거리가 멀다는 게 여성 공무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양성평등교육진흥원 이상화 남부센터장은 “전체 여성 공무원 비율이 지난 2007년 이미 40%대를 넘어선 현실인데도 공직 내 여성 리더들의 인적 네트워크 조직은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지난해 4월 양성평등교육진흥원이 창립한 여성 사회지도자 네트워크인 ‘본 포럼’이 유일하다시피 한 여성 리더들의 연대모임이라는 것. 격월로 운영되는 이 포럼은 3급 이상 공무원, 군 장성급, 국회의원, 부장급 이상 판검사들, 공기업 임원 등 현직 사회지도층 여성 인사 100여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이 센터장은 “다양한 여성 직업종사자들끼리 네트워크를 공유함으로써 공공분야의 여성 대표성 확대에 대한 필요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모임”이라며 “여성이 조직 내 의사결정권자가 되기는 여전히 힘든 만큼 이들끼리 머리를 맞대고 여성인력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 고민한다.”고 말했다. 의사결정권을 가진 여성리더들부터 여성인재 발탁의 의지를 확고히 가져야 한다는 취지다.

공직사회의 특수성과 보수적 분위기 등으로 여성 공무원들만의 연대모임은 만들어지기 어렵다. 여성 고위직 양성을 위해 정책적으로 배려된 교육 프로그램도 없다.

당장 중앙공무원교육원에도 여성 공직자들의 조직 내 역할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교육과정이 없다는 지적들이다. 교육원 관계자는 “몇 해 전까지만 해도 관련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러나 여성공무원 수 자체가 이미 크게 늘어난 데다 여성만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오히려 성차별적이라는 시각도 있어 그렇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공무원 가운데 여성의 비율은 2007년 40%대로 처음 진입한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여성이 전체 공무원의 50%대인 미국과 영국의 경우 여성 고위공무원 비율은 각각 31%(2009년)와 34%(2010년)를 차지하고 있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1-06-13 10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