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강남구에 따르면 올해 초 도시관리공단에서 처리하던 17개 문화센터 업무를 효율성에서 앞서는 강남문화재단으로 이관한 뒤 6개월 만에 효과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지난해 922개 강좌 가운데 극히 낮은 이용률을 보이거나 투입 대비 수익률이 너무 낮은 것들을 합쳐 212개 강좌를 없앴다. 대신 270개 강좌를 보강·개선하는 등 479개 강좌를 정비하여 이달 현재 710개로 말끔하게 줄였다. 이에 따라 7월부터는 구민들이 선호하는 알찬 프로그램을 선정해 권역별로 시범 운영하고, 선호도가 높은 강좌를 확대 운영, 문화의 혜택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 하반기만 예산 10억여원을 절감할 것으로 구는 기대한다.
무엇보다 반가운 대목은 공간 재조정과 함께 주민들을 위한 쓰임새가 늘어나고 효율적으로 바뀌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강좌가 줄어듦에 따라 생긴 문화센터 내 여유공간을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우선 대치2·역삼1·도곡문화센터 등 소규모 강의시설 7개를 하반기부터 주민들의 휴게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계획이다. 또 논현1·청담·역삼1·삼성1 문화센터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구립어린이집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오는 11월 논현1문화센터에 첫 어린이집 개원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모두 마치기로 했다.
아울러 신사·압구정·청담문화센터 등의 다목적 강당 7개에 대해서도 활용도를 검토해 3곳 이상의 어린이집을 추가 설치한다. 이 밖에도 수준 높은 강사를 섭외해 비인기 운영강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10명 미만 소수 인원으로 운영되던 111개 강좌의 정원을 확대 조정해 구민의 수강료 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1-06-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