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격협상 난항… 낙농업자들 “적자” 하소연
낙농진흥회와 유가공업체 사이의 원유 가격인상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한동안 묶어둔 원유 납품가를 올리기는 올리는데, 유가공업체들은 고물가 시대에 소비자가격 인상이 신경 쓰일 수밖에 없다. 반면 낙농업자들은 “원유를 길바닥에 버리는 한이 있어도 더 이상 적자경영에 버티기 힘들다.”며 눈물로 하소연하고 있다.
|
10일 경기 광주시 초월읍에서 젖소농장을 운영하는 김현기씨가 낙농가들의 고충을 털어놓고 있다. |
경기 광주시 초월읍에서 젖소 80여 마리를 키우고 있는 농장주 김현기(50)씨는 10일 낙농가의 깊은 고민을 솔직히 털어놨다.
매일 오전 4시 30분 젖소에게서 우유를 짜는 것으로 하루를 여는 김씨는 밤 10시나 돼야 고단한 일과를 마무리한다고 했다. 365일 내내 쉬는 날은 단 하루도 없다. 그런 일상이 30년 가까이 됐다.
현재 김씨가 유가공업체에 납품하는 원유 공급가는 ℓ당 800원. 낙농가들의 평균액인 ℓ당 704원보다 조금 높다. 800원은 1등급 원유의 경우이고, 등급별로 따지면 3등급까지 ℓ당 700원 아래로 납품할 때도 많다고 한다.
김씨가 ℓ당 800원에 납품하는 원유는 유가공업체의 가공과정을 거쳐 소비자들에게 2150~2300원에 판매된다.
목장에서 아침과 저녁 등 두 차례에 걸쳐 착유를 통해 수집한 원유는 목장의 냉각기에서 냉장 보관하고, 등급을 알기 위해 1차 원유검사를 실시한다. 이어 유가공업체 공장으로 이동, 저유조로 올리기 전에 다시 원유검사가 진행되고, 생산 쪽으로 넘어가면서 예열과 살균, 포장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 다시 냉장 저장고에 보관된 뒤 냉장탑차로 전국 각 우유 대리점이나 소매점으로 배달돼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김씨가 한 달에 벌어들이는 수입은 300만원 수준. 최근에는 유가공업체가 사료 등을 공동으로 공급, 원유대금에서 사료값도 공제해야 한다.
300만원을 손에 줘도 월 100만원가량의 전기세와 유류비용을 빼고, 착유시설 설치를 위해 대출받은 1억원에 대한 이자 103만원 정도를 제하면 김씨에게 남는 돈은 100만원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의 눈가에 이슬이 보였다. 이런 현실이 결코 엄살이 아닌 듯하다.
김씨는 “보통 1t 정도의 원유를 공급하는 목장은 시설투자비용 등 1억원 이상의 대출을 끼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낙농가들은 따라서 우유의 유통마진이 너무 많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김씨는 “지난 3년간 원유 공급가는 한 차례도 오르지 않았다.”면서 “3년 전에도 원유 공급가를 10원 올리면 소비자가격은 30원이 올랐다.”고 유통과정에서 지나친 마진을 지적했다.
그는 또 “지난해와 올해 초 전국적인 구제역을 겪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15%가량 감소했는데 사료값은 도리어 20% 이상 폭등했다.”고 말했다. 그러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 유가공업체들은 원유를 공급받아 살균→포장→유통 등 가공 단계를 거치면서 투입되는 비용을 제외하면 마진은 5%밖에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김씨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김씨는 “원유공급가 인상이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낙농가들의 고통을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글 사진 장충식기자 jjang@seoul.co.kr
2011-08-11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