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 원서 접수 마감일인 1월 20일 전에 한국사 고급 시험을 시행할지 여부는 아직 인증을 받지 못한 수험생들에게 중요한 관심사였다. 2012년부터 한국사 고급 시험(1~2급)인증을 받아야만 5급 공채시험 등에 응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험 주관 부처인 행안부도 그동안 “시험 시행 시기는 다른 기관 소관이라 관여할 수 없다. 한국사 시험이 5급 공채 시험에 포함된다는 방침은 이미 2009년에 공지됐기 때문에 시험을 미리 보지 않은 것은 기본적으로 수험생 책임”이라는 원칙적인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최근 수험생들의 여론을 의식, “국사편찬위와 한국사시험 시행 시기를 협의 중”이라고 달리 말했다. 앞서 수험생들은 지난달 27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행·외시와 한국사자격’이라는 이름의 커뮤니티 사이트까지 개설하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 1주일도 채 되지 않아 500여명이 이 커뮤니티에 가입했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이번 국사편찬위의 결정으로 수험생들은 한숨 돌리게 됐다. 하지만 한국사시험의 횟수, 난이도는 계속 논란이 될 전망이다. 특히 영어 대체시험은 토익·토플(PBT, CBT)·텝스 등 4가지지만 한국사는 국사편찬위의 한국사시험 단 하나다. 또 토익은 올해 14번 치러졌지만 한국사시험은 단 3회, 내년부터는 4회 실시된다.
제멋대로인 난이도도 문제로 지적된다. 최근 한국사 고급 시험 합격률을 보면 7회 5.2%, 8회 39.9%, 9회 47.9%에서 10회에는 4.5%로 뚝 떨어졌다가 11회에는 58.6%, 12회에는 42.6%로 솟아올랐다. 이런 ‘롤러코스터 합격률’에 대해 수험생 김모(32)씨는 “공무원 채용 시험의 자격 요건이 되려면 난이도 조절은 기본인데, (국사편찬위가) 전혀 신경 쓰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사편찬위 관계자는 “한국사 시험은 국민의 한국사 지식 함양을 위해 서비스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면서 “특정 수험생뿐 아니라 초·중·고등학생까지 보는 시험이라 ‘난이도 조절’이라는 개념 자체가 부적합하다.”고 밝혔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1-11-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