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태영 수원시장 |
이 선생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임진왜란에 대한 관심과 자료 수집을 시작으로, 일제의 대륙침략 야욕과 강제로 체결된 한일병합의 불법성을 알리기 위해 일본의 도서관과 자료보관소에서 귀중한 자료를 수집해 세상에 공개했다. 또, 독도가 우리의 땅이란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일본 스스로 독도를 한국 땅으로 인정한 자료를 모으는 데 헌신했다. 이렇게 선생이 평생 모은 귀한 자료를 바탕으로 1997년 울릉도에 독도박물관을 개관했고, 선생은 초대 관장으로 활동했다. 그 소임을 다한 뒤에는 ‘한 줌 재 되어도 우리 땅 독도 지킬 터’라는 말을 남겼는데, 이런 뜻을 기리기 위해 2002년 독도박물관 앞에는 선생의 묘비를 세우기도 했다.
선생은 평생 방대한 역사 자료를 모으는 데 그치지 않고, 자료는 ‘꼭 필요한 곳에 보내 활용케 해야 한다’는 소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 뜻에 따라 독도박물관, 독립기념관, 현충사에 관련 자료를 기증했고, 2004년에는 수원시에 유물과 자료를 무려 2만여점이나 기증했다. 11월이면 선생이 우리 곁을 떠난 지 10주년이 된다. 그래서 수원박물관에서는 선생이 기증한 자료를 독도박물관, 독립기념관, 현충사에서 다시 옮겨와 특별기획전을 열고 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를 돌면서 수집한 독도와 조선해 자료, 잃어버린 땅 간도와 일제침략 자료, 화성과 충·효 자료 등 유물 150여점을 함께 전시하고 있다.
선생이 일생 부지런히 발품을 팔면서 수집한 유물과 자료는 그저 박제된 전시품이 아니라 우리 가슴과 심장을 뛰게 하는 북소리가 돼 살아 꿈틀대고 있다. 또,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의 논리가 터무니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분명한 증거가 되고 있다. 이 선생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수원시는 앞으로도 우리 역사 바로알기와 우리 영토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우리가 올바른 역사의식과 나라 사랑의 마음을 키워야만 총성 없는 역사전쟁에서 우리 땅을 굳건히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2012-10-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