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컨베이어 이탈 방지 특허 제설 작업 20년 경험 고스란히 담긴 결과죠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강동구 박천성 주무관

박천성 강동구 주무관

20여년의 현장경험을 특허출원으로 연결시킨 공무원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강동구 도로과에 근무하고 있는 박천성(44) 주무관이 그 주인공. 그는 1992년 제설 전문 요원으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다. 제설작업을 꾸준히 해 온 경험을 살려 제설차량 컨베이어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개발, 특허까지 냈다.

특허는 경험에서 비롯됐다. 오랫동안 제설 작업을 해 온 그에게 오랜 골칫거리가 있었다. 바로 제설차량 적재함에서 살포기로 염화칼슘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혹한의 날씨에 바삐 가동되다 보니 고장이 잦아 작업이 자주 중단됐다.

바쁜 제설작업 현장에서 컨베이어 벨트 고장은 작업 시간을 지체시킬 뿐 아니라 혹한의 노상에서 그걸 고치려다 보니 안전사고 위험까지 있었다. 박 주무관도 2008년 작업 현장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고치려다 차량 틈에 끼이는 아찔한 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그래서 2010년부터 본격적인 개선방안을 찾기 시작했다. 숱한 시행 착오 끝에 그가 찾아낸 방법은 컨베이어 장력 조절장치. 유압을 이용해 제설작업 중 컨베이어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특허까지 취득했다. 이 장치는 올해 하반기부터 출시되는 제설차량에 필수적으로 장착될 뿐 아니라, 기존 제설차량에도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한국도로공사 등 제설작업에 관심 있는 곳에서 널리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해식 강동구청장은 “업무 수행 중에 발견한 문제점을 적극 개선하려는 의지와 열정이 보였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라고 격려했다. 박 주무관은 “요즘 예기치 않은 폭설이 내리는 경우가 많은데 제설작업이 더 빨리 이뤄질 수 있는 데다, 제설작업을 담당한 사람들의 안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이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5-15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