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공무원과의 간담회’서 쏟아진 제안들
안전행정부는 23일 서울 중구 계동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에서 ‘중증장애인 공무원과의 간담회’를 열었다. 참석한 14개 부처 15명의 장애 공무원은 채용과 임용, 인사관리, 복무여건 등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장애인의 특성을 배려한 인사관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장수호 주무관은 “장애인은 특별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지만 바꿔 생각해 보면 이들이 더 잘할 수 있는 업무가 있다는 의미”라면서 “직렬별·업무별로 장애인에 대한 직무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박명진 주무관도 “청각장애인인데 처음 배치받는 부서가 전화를 많이 받는 곳이어서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신체 특성을 고려해 부서를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주무관은 “장애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직무분석을 통해 유연한 부서 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성가족부 김은경 주무관은 “장애인 채용은 대부분 전산직인데 일반행정, 사회복지 직렬의 비중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시 이전 부처 소속 직원들은 부처 이전에 대한 걱정을 토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위현복 주무관은 “중증장애를 가진 공무원들은 세종시 출퇴근이 더욱 힘들 것이 분명하다”면서 “장애인 아파트와 같은 시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 주무관도 “현재 기반시설이 제대로 돼 있지 않아 걱정이 많다”면서 “인사교류 등 인사상 배려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장애 공무원 간의 인사교류가 더욱 필요하다는 주장이 계속됐다. 서울병무청 최지식 주무관은 “부득이하게 일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다면 일할 수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중증장애인 간 인사교류가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주무관은 “나라일터 등에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인사교류 정보가 제공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안행부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향후 인사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승호 안행부 인사실장은 “수요조사를 통해 인사교류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찾겠다”면서 “장애 공무원의 인사상 애로사항이나 장애요인을 개선해 함께 일할 수 있는 공직문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장애 공무원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앙행정기관이 4805명(3.27%), 시·도지자체가 8306명(3.82%)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05-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