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100만명 시대 현주소
우리나라 공무원들은 대략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까. 어느덧 공무원 100만명 시대를 맞은 가운데 우리나라 공무원은 평균적으로 자녀 2명을 낳아 기르고 절반 이상은 맞벌이 가정을 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안전행정부가 공무원의 평균적인 삶을 알아보고자 지난해 6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공무원 총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공무원 총조사는 5년 단위로 실시된다.
조사는 전체 공무원 100만 6474명 중 육아휴직·해외파견자 등 4만 8273명을 제외한 95만 8201명을 대상으로 진행돼 이 중 90만 3148명이 응답(응답률 94.3%)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계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무원의 평균 재직연수는 16.8년으로 5년 전보다 1.4년 증가했다. 이 중 지방·교육 공무원이 17.2년으로 재직 기간이 가장 길었다.
비록 상승폭은 크지 않지만 여성 공무원 수는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응답자 중 여성 공무원 비율은 41.4%로 2008년에 비해 0.8% 포인트 늘었다. 이 중 지방공무원 상승폭이 2.8% 포인트로 가장 컸다.
9급 공채로 들어온 공무원이 5급으로 승진하기까지는 평균 25.2년, 7급 공채 출신 공무원이 4급으로 승진하는 데에는 평균 22.1년이 소요됐다. 5급으로 임용된 공무원이 고위공무원단으로 가는 데에는 평균 21.2년이 걸렸다.
2008년 37.4%였던 육아휴직자 수 비율은 지난해 53.2%로 크게 뛰었다. 안행부 관계자는 “만 3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에게만 적용됐던 육아휴직이 현재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공무원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무원의 평균 연령은 43.2세로 5년 전보다 2.1세 늘면서 공무원 사회에 ‘장년화’ 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공무원이 전체의 35.8%로 가장 많고 50대 이상 공무원도 28.3%으로 세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50대 이상 공무원은 7.9% 포인트가 늘어난 것으로, 증가폭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9급으로 임용된 공무원들의 재직 기간별 월평균 보수를 보면 신규 임용 당시에는 156만원(세전)을 받고 재직 10년차는 274만원, 20년차는 356만원, 30년차는 442만원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1-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