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새마을운동 추진방향
이를 위해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확산을 위한 사업모델 정립 ▲지도자 자격제 운영 등 표준 교육 프로그램 마련 ▲지방자치단체의 개도국 지원사업 관리체계 통합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사업모델은 시범국가를 중심으로 한 통합사업형과 개별사업형으로 나뉜다. 개별사업형(모델)은 시범국가에 선정되지 않은 개도국을 대상으로 고위급 및 지방 단위 공무원의 초청 연수와 현지 교육 실시, 소규모 시범사업의 실시 등을 내용으로 한다. 또 개도국의 요청과 우리 예산 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소규모 시범사업에는 마을길 포장, 공동 우물 건설, 작물 재배, 가축 사육 등이 포함돼 있다. 정부는 국제개발협력단(KOICA) 해외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의료 및 이·미용, 농업기술 등의 활동에 참여할 인력을 지원키로 했다.
또 맞춤형 커리큘럼과 교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수원국들의 요청이 많아지고 있는 정보기술(IT), 기계, 환경 등으로 지원 분야를 다양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부터 새마을중앙회 초청 교육부터 초청 대상자를 이들 분야로까지 넓혀 나갈 계획이다.
한편 안전행정부는 새마을정신과 가치의 명확한 정립 및 확산을 위해 다음 달 21일부터 4일 동안 해외 정상급 및 장관급 8~9명이 참가하는 ‘제1회 지구촌 새마을지도자 대회’를 열 계획이다.
세종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4-03-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