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일부 女비율 30% 넘어… 지자체선 업무 협조 잘돼 반기는 분위기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던 농촌 이장에 여성들이 속속 진출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적 활동이 증가하면서 농촌에서도 여풍이 불고 있다.
|
농촌지역 사람들의 생활을 다른 KBS 드라마 ‘산넘어 남촌에는 2’ |
충북 영동군은 2007년 3명의 여성 이장이 탄생한 이후 2010년 14명, 지난해 16명, 올해 18명으로 늘어났다. 다른 지역도 상황이 비슷하다. 현재 충북 옥천군은 12명, 진천군은 23명, 음성군은 10명, 괴산군은 11명의 여성 이장이 활동하고 있다. 최근 아파트가 많이 들어선 충북 청원군은 전체 이장 571명의 10%가 넘는 66명이 여성이다.
|
지자체들은 여성 이장의 증가를 반기는 분위기다. 남성들보다 통솔력은 떨어지지만 섬세하고 책임감이 강해 업무 협조가 잘 이뤄지고 있어서다. 또 대부분의 여성 이장이 부녀회 활동 경험을 갖고 있어 마을 대소사 등 궂은일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단점보다 장점이 많다는 것이다.
윤주철 청원군 행정담당은 “여성 이장들은 회의 참석률이 높고 회계 처리 등에서 매우 꼼꼼하다”며 “컴퓨터와 카메라 등도 잘 다뤄 각종 서류에 사진을 첨부하는 등 매사에 적극적”이라고 말했다.
파워포인트를 활용해 회의를 진행하는 여성 이장도 있다. 또 여성 이장의 등장으로 마을 분위기가 크게 달라진 곳도 있다.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부지런하고 의욕이 넘치다 보니 마을 특성에 맞는 새로운 사업을 발굴해 추진하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이장을 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월 20만원의 활동수당과 자녀 장학금 혜택 외에도 마을을 위해 일하며 보람을 느끼고 싶어서다. 문창숙(53) 방축리 이장은 “다양한 주민숙원사업을 해결하면서 보람과 재미를 느끼고 있다”며 “수당은 이장 활동을 하다 보면 살림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하고 싶어 이장을 한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순천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4-03-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