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경력·경험 강점 前 부시장 지역 사정에 밝은 3선 구의원
숨어 있던 잠룡들이 대거 뛰쳐나와 아주 어지러운 선거가 될 것이라는 게 지배적 의견이었다. 문병권 구청장이 3선 연임에 성공하는 동안, 더구나 문 구청장이 같은 새누리당 소속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호흡을 맞춰 각종 지역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가는 동안, 여야 모두 숨죽이고 있을 수밖에 없어서였다.
|
문 구청장은 재임 기간 동안 1조원을 웃도는 사업자금을 끌어들여 지역 발전에 혁혁한 공을 세운 점을 부각했지만, 3선 연임에 성공한 2010년 선거에서 지지율 차이는 불과 0.3%. 겨우 513표 차이라는 피 말리는 승부였다.
그 ‘문병권’이 빠졌으니 대개 후보난립을 예상했다. 그러나 뜻밖에 일찌감치 정리된 편이라 의외였다. 새누리당에서는 나진구 후보가 ‘전직 서울시 행정1부시장’이라는 묵직한 경력을 바탕으로 출사표를 던졌다.
문 구청장의 뒤를 이어 지역 개발을 진두지휘할 만한 경험과 경력을 쌓은 사람을 손꼽으라면 자기밖에 없다는 인물론을 내세우고 있다. 격이 다른 후보인 만큼 표를 몰아달라는 호소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김근종 후보로 맞불을 놨다. 3선 구의원에다 의장을 지내면서 지역 사정에 밝다는 점을 강조한다. 문 구청장이 지역개발에 힘쓴 점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이제는 거대 개발사업보다는 소소한 지역 사정에 알맞은 섬세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5-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