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이어져 ‘꿀통현상’ 속출
국내 최대 고랭지 채소 생산지인 강원 평창 대관령 지역 배추들이 수확철을 앞두고 속이 썩어 들어가는 속칭 ‘꿀통현상’이 발생해 수확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
재배 농가들은 지난달 말까지 30도를 웃도는 고온이 이어지다 이달 들어 소나기까지 내리면서 꿀통현상이 나타나 사실상 수확을 포기하는 농민들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꿀통현상은 배추가 포기가 차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높은 온도의 비가 내리면 속이 삶아서 데친 상태처럼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배추는 상품성이 전혀 없는 데다 방치하면 배추밭에서 비닐을 제거하기도 쉽지 않아 농민들은 배추를 베어 내 그대로 갈아엎어야 한다. 이 현상은 2~3년 혹은 4~5년 주기로 간헐적으로 발생하지만 올해처럼 심한 경우가 없었다는 게 재배 농민들의 설명이다. 농민들은 “꿀통현상에 의한 피해 면적이 대관령면 지역 전체 재배면적 99만여㎡의 3분의2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잠정 집계된다”고 주장했다.
함모(62·대관령면 횡계리)씨는 “세 농가가 지난 6월 10~15일쯤 13만여㎡에 배추를 심어 추석 직전에 출하하기로 하고 계약재배했지만 꿀통현상으로 상품성이 하나도 없게 되면서 계약금 일부를 반환하게 됐다”면서 “자연재해에 강한 품종의 씨앗을 보급해 더 이상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 달라”고 하소연했다.
평창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4-08-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