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구급차 95% 보유 안 해
부산 지역 119구급차량 55대 중 자동심폐소생기를 보유한 구급차가 단 1대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전국 8대 광역시 이상 지자체에서 운행 중인 400대의 구급차량 중 자동심폐소생기를 보유한 차량은 단 12대에 그쳤고, 전국의 구급차 1294대 중에서 95%인 1235대가 자동심폐소생기를 보유하지 않았다.
자동심폐소생기는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기계적으로 일정하게 작동시켜 응급상황 발생 시 구급대원이 다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다. 공공장소 등에 비치돼 심장 정지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자동제세동기(AED)와는 구분된다.
지역별 자동심폐소생기 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도가 222대의 구급차량 중 32대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충남(12대), 대전(5대), 서울(4대), 강원(3대), 인천(2대), 세종(1대) 순으로 조사됐다.
부산소방본부 관계자는 “구급차량의 자동심폐소생기는 선택 장비라서 각 시·도 소방본부의 예산으로 갖춰야 한다”며 “대당 3000만원씩 하는 자동심폐소생기를 정부 지원 없이 소방본부 자체 예산만으로는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일선 구급대원들이 자동심폐소생기를 사용해 본 경험이 없는 데다 보급도 안 돼 현 시점에서 필요성이나 효율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염석란 부산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흔들리는 구급차량 안에서 심장박동이 멈춘 응급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해서는 구급대원보다 자동심폐소생기가 훨씬 효과적”이라며 “구급대원이 심폐소생술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갈비뼈가 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자동심폐소생기의 위험도를 언급하기보다 관련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꼬집었다.
부산 오성택 기자 fivestar@seoul.co.kr
2014-10-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