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이행 안 돼 여수 상권 침체
2006년 3월 전남대와 통폐합한 여수대는 한의대 설립 및 행·재정적 지원 등 12개 기본 합의서에 서명했지만 통합이행각서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 이후 여수캠퍼스의 재학생과 교직원이 줄고 인근 상권이 침체하는 등 오히려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통합 전 광주 전남대 캠퍼스의 재학생은 2004년 1만 7232명에서 지난해 1만 7378명으로 늘었지만 여수캠퍼스는 3855명에서 3329명으로 줄었다. 교수 수도 광주캠퍼스는 890명에서 1087명으로 증가했지만 여수캠퍼스는 177명에서 166명으로 감소했다. 국외 대학 간 학술교류협정도 광주캠퍼스는 통합 전 80개 대학에서 195개 대학으로 많아졌지만 여수캠퍼스는 14개 대학에서 2개 대학으로 급감했다.
전창곤 여수시의회 의원은 “학교용지로 묶인 둔덕동 용수마을 22만여㎡에 대한 개발이 늦어져 주민 재산권에 막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며 “통합 이후 지역 거점 대학으로서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통합 당시 교육부가 인센티브로 지원한 수백억원의 예산 내역과 사용처도 공개해야 한다”면서 “양해각서 이행은 물론 단과대학 이전이나 해양수산 분야 학과 신설 등의 발전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철현 여수시장은 “전남대에 여수캠퍼스 환경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공과대학 여수캠퍼스 이전 등 맞춤형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전남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여수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4-10-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