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 고도정수시설 월말 가동
이르면 이달 말부터 서울 시민 90%가 고도정수처리 수돗물을 쓰게 된다.서울시는 지난달 강북과 암사아리수정수센터에 이어 이달 말 구의센터까지 3개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가동한다고 6일 밝혔다. 현재 6개 아리수정수센터 중 영등포, 광암에 이어 지난달 말 암사, 강북 고도정수처리시설도 가동에 들어가 시민 84.6%가 고도정수처리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오존과 활성탄을 활용해 조류 등에서 발생하는 미량유기물질과 소독부산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기존 수돗물에서 지적되던 흙과 곰팡이 냄새를 눈에 띄게 줄였다고 설명했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확대되고 있지만 시민 수돗물 음용률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직접 응용률(끓이지 않고 마시는 것)은 지난해 4.9%로 전국 16개 광역시도 평균(5.4%)에도 밑돌았다. 이웃한 일본 도쿄의 경우 51.7%나 된다. 보통 음용률을 보면 서울은 53.3%다.
정득모 상수도사업본부 부본부장은 “고도정수처리 물을 공급하는 지역의 음용률도 크게 높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수돗물 질은 좋아졌지만 과거 부정적인 이미지가 그대로여서 음용률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수돗물 음용률 향상을 위해 노후 상수관과 옥내 배관 교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현재 공사비의 50% 수준인 옥내 배관 교체 지원금을 80%로 상향하는 조례를 준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고도정수처리를 하면서 t당 20원가량 생산비 인상이 발생해 수도 요금을 내년에 t당 15원 인상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4-11-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