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지사 “산업현장 인력난 심화...지역 맞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콘진, 투자사 4곳과 ‘경기 밸류업 인베스트 파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이순신 장군 애민 정신 본받아야”…현충사 우물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부처 이전으로 세종시 성장동력 찾아…세계 명품도시 만들 것”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이충재 행복도시건설청장 인터뷰

“형편없는 도시를 만든다는 지적도 따갑게 들었고 도시를 폄하하는 사람도 많았다. 하지만 서서히 도시 모습이 살아나고 있다.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갖고 세계적인 도시를 만드는 일만 남았다.”

물류회사 직원들이 11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국세청에서 세종시로 이전하는 이삿짐을 트럭에 싣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충재 행복도시건설청장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을 책임지고 있는 이충재 행복도시건설청장을 만나 행복도시의 비전과 과제를 들어봤다.

→3단계 중앙부처 이전이 시작됐다. 처음부터 마지막 이전까지 지켜본 소감은.

-행복도시가 모름지기 대한민국 행정 중심으로 우뚝 섰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건설 과정에서 정치적인 논란도 많았지만 국민과의 약속을 지켰다는 의미도 있다. 부처 이전이 끝나면서 기반시설도 갖췄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행정기관 이전 이후 도시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있게 됐다.

→이전 초기에는 문제도 많았다.

-중앙부처 이전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생겨 2년간 공백이 있었다. 공기를 맞추기 위해 서둘러 공사를 하다 보니 미처 기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채 이전이 이뤄져 부작용이 따랐던 것도 사실이다. 처음 이전한 부처의 공무원들과 가족들이 고생했다. 하지만 새로운 도시 축이 보이기 시작했다. 청사 주변 1생활권뿐만 아니라 첫마을 주변 2생활권도 주거·행정·상업 기능이 어우러진 생활권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연구기관 이전도 도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책연구기관 이전은 지방행정관서 이전과 함께 4생활권의 아이콘이다. 아울러 인근에 대학 이전이 계획돼 있고 산학클러스트가 조성된다. 기업과 연계한 연구 기능이 활발해지고 행복도시의 강남권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도시 가치 상승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했는데.

-기존 공공택지 방식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공공택지라도 분양되는 순간 사유재산이다. 도시의 스카이라인이나 미관은 무시되고 최대 용적률을 뽑아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데만 초점이 맞춰진다. 도시 전체의 그림을 먼저 그리고 개발을 유도하는 방법을 도입했다.

→공동주택단지 특화설계 이후 시장 분위기가 달라졌다.

-특화설계는 4~5개 필지를 묶어 하나의 단지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특화설계를 도입하자마자 효과가 바로 나타났다. 미분양이 발생해 분양시장의 무덤으로 변할 위기에서 2-2구역 특화설계 아파트가 나오자 수십 대, 수백 대 일의 경쟁률이 나왔다. 특화설계는 디자인만 보고 하는 것이 아니다. 아파트 품질 전체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곧 도시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 주민들은 긍지를 갖게 되며 건설산업도 한 단계 발전하고 도시 가치도 상승하는 윈윈 전략이다.

→특화설계를 확대하고 있지 않나.

-단독주택도 바둑판처럼 나눠 분양하고 나면 끝이었다. 땅주인은 제멋대로 짓고 용적률만 최대로 뽑아 짓다 보니 지저분했다. 우리라고 왜 유럽식 단지, 지중해식 단지를 만들지 못하나. 그래서 단독택지도 특화설계 공모를 통해 공급한 것이다. 시범도입했는데 비정형화된, 다양한 형태의 주택단지 개발 성공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방축천변 상가용지 공급도 화제가 됐다.

→명실상부한 명품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도 산적해 있다.

-세종시도 서울시처럼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거대 도시권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경쟁력=국가경쟁력’이다. 수도권의 기능을 뺏어 온다거나 특정 지역에만 투자한다는 근시안적 비판을 할 때가 아니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도시가 되도록 국가적인 뒷받침이 필요하고 국민들이 적극 지지해 줘야 한다. 이제는 특색 있는 도시를 만들어 모든 국민이 살고 싶어 하는 도시, 세계에 수출까지 하는 도시를 만들어야 할 때다.

세종 글 사진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12-12 9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