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출범 후 2년 반 동안 4배 증가…아파트·학교 신설에 외지서 옮겨와
세종시에 외지 건설업체가 봇물 터지듯 몰려오고 있다. 향토업체는 ‘우린 뭘 먹고사느냐’고 아우성이다. 시는 내년 2월까지 대대적인 위장전입 건설업체 단속을 벌여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하겠다고 15일 발표했다.
현재 세종시에 주소를 둔 건설업체는 전문 253개, 종합 210개 등 모두 463개에 이른다. 세종시 출범 전날인 2012년 6월 30일의 종합 30개, 전문 100개 등 130개와 비교해 2년 6개월 사이에 4배 가까이 크게 늘어났다. 박용국 시 주무관은 “우리 시로 주소를 옮기는 건설업체가 하루 4~5개에 달하는 날도 많다”면서 “연기군 때부터 있었던 향토업체들이 입찰에서 자주 밀려나면서 시에 전화해 적잖이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외지 업체가 세종시로 몰려드는 것은 아파트와 학교 신설 등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대규모 사업인 학교 신설은 연기군 시절에 전혀 없었다. 2012년 유치원을 포함한 25개에서 지난해 7개, 올해 15개 등 끊임없이 벌어지고 있다. 이어 내년에 30개, 2016년 12개로 학교 신설이 다른 지역보다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다.
전입 업체는 충남북은 물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경상도, 전라도 등 지역을 가리지 않는다. 대부분 영세 업체들이 많다. 시 관계자는 “입찰 시 들어왔다 당장 먹을 게 없으면 충남도청이 옮겨간 내포신도시 등으로 주소를 옮기는 ‘뜨내기’ 업체들이 많다”면서 “사무실도 없이 주소만 옮겨오는 업체도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시는 대한건설협회 충남지회·세종지회와 함께 방문조사를 벌여 자본금과 기술인력 등이 부실한 위장전입 건설업체를 가려낸다는 계획이다. 박 주무관은 “이번 단속은 향토기업 보호 차원도 있지만 전입 건설업체가 세종시에 터를 잡을 수 있게 하려는 의도도 있다”며 “회사를 옮겨와 눌러앉으려는 업체도 많다”고 귀띔했다.
세종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