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직 퇴직 후 산하기관 재취업 눈살
18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도 지식산업진흥원 이사회가 최근 회의를 열어 지원자 가운데 부이사관(3급)인 신필수 도 균형건설국장을 차기 원장으로 내정했다. 정년퇴직이 2년여 남은 신 국장은 명예퇴직한 뒤 자리를 옮길 예정이다.
지식산업진흥원장 임기는 2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원장 연봉은 7000여만원 수준이다. 지식산업진흥원은 도내 정보기술(IT) 산업과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창업 지원, 기술 개발, 인력 양성 등을 담당하는 곳이다. 신 국장은 토목직이다. 지식산업진흥원은 원장 지원 자격 조건에 ‘관리 능력이 인정되는 자’라는 애매한 내용을 포함시켜 공모를 진행했다.
도 고위직이 산하기관 등으로 자리를 옮기는 것은 처음이 아니다. 현 박재익 지식산업진흥원장도 도 간부 공무원 출신이다. 또한 현재 도 체육회 사무처장, 도 생활체육협의회 사무처장, 충북중소기업센터본부장 등도 도 간부 공무원 출신들이 차지하고 있다.
정년퇴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산하기관으로 재취업한 공무원들 대부분은 현직에서 더 오랫동안 일하며 동료 공무원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이런 관행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해당 기관의 내부 사정을 잘 모르거나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임명돼 다양한 부작용이 우려되고, 내부 승진을 기대하는 구성원들의 사기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윤정 충북경실련 사무처장은 “조직에서 원하는 인물이 아니라 충북도에서 내려보낸 일종의 낙하산 인사”라면서 “지원 자격 조건을 까다롭게 하는 방식으로 간부 공무원들의 재취업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도는 단점보다 장점이 많다고 반박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전문가들이 실무를 맡고 있어 관리 능력이 검증된 간부 공무원들이 산하기관장으로 일하는 것은 크게 문제 될 게 없다. 검증되지 않은 외부 인사들보다 나을 수 있다”면서 “지자체들의 인사 적체 해소에도 적지 않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4-12-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