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대표·교통전문가 등 33명 사전 소통으로 시민 불편 차단
22일 전주시에 따르면 5개 시내버스 노사 대표와 교통전문가, 시민 등이 두루 참여하는 대타협위가 최근 구성됐다. 지난 9월부터 논의된 이 위원회는 막판까지 진통을 겪다 최근 노조의 동참이 이뤄지면서 가까스로 구성됐다.
대타협위는 노인, 장애인, 대학생, 학부모, 교통전문가, 시의원, 공무원, 버스회사 대표와 노조원, 시민단체 관계자, 노무사 등 33명으로 구성됐다.
이 위원회는 2011년 이후 수차례에 걸쳐 수백일 동안 이어진 파업으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자 버스를 운영·이용하는 이해 당사자들이 모두 참여, 사전에 소통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위원회 출범으로 파업의 장기화→공권력 투입→가담자 처벌→구속자 석방을 위한 재파업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새해에는 끊길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노사와 행정기관이 갈등을 논의했던 것과 달리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이 한자리에 마주 앉음으로써 사실상 사회적 합의기구로 역할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노사 대표는 대타협위에서 결정된 사항을 성실하게 이행한다고 협약을 맺었다.
이 위원회는 분야별 실무위를 두고 앞으로 노사문제, 시민불편 해소, 새로운 운영체계 마련 등에 나설 계획이다. 노노 간 이견과 갈등에 대한 협상안 제시, 버스 보조금 투명 관리 방안, 노선 개편, 승강장 설치기준 등도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전주지역 시내버스는 연간 200억원에 가까운 막대한 보조금을 받지만, 근로조건 등을 둘러싼 노사갈등으로 툭하면 멈춰 서기 일쑤였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4-12-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