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 등 기관 집중… 2021년 목표 역세권 상업·한강 관광 활성화
“종합행정타운을 건립해 노량진과 장승배기를 상업적 선도지역으로 만들고자 합니다.”이 구청장은 지역을 대단위 생활권으로 나누고 어떤 방식으로 집중 투자할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우선 구청, 구의회, 경찰서, 우체국 등을 장승배기로 옮겨 분산된 행정기능을 한곳으로 모으는 종합행정타운을 건립할 계획이다. 구는 2월부터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2019년 착공,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이 구청장은 “장승배기 주변 상업지역을 변화시켜 공공기관들이 민간 개발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이끌겠다”고 밝혔다.
종합행정타운과 더불어 노량진, 사당·이수 지역 등 역세권의 상업기능 확대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 구청장은 2018년까지 현 상업기능지역 비율을 2.95%에서 5.1%까지 상향한다는 구체적인 목표 수치도 제시했다. 그는 “동작구의 특징은 전 지역이 역세권으로 형성돼 있다는 것”이라면서 “역 주변 건물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도록 서울시와 협의하고 있다. 앞으로 큰 빌딩이 들어서고 사람들이 모여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구는 상업지역 확대를 위해 ‘특별과세구역’을 지정하는 방안도 시와 협의 중이다.
또한 동작구가 한강에서 소외된 지역이라는 오명도 벗을 수 있도록 한강변 문화관광벨트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 구청장은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한강을 끼고 있는 곳이 11곳인데 수변공원이 없는 곳은 우리 구가 유일하다”면서 “정부와 서울시에서 ‘한강 자연성 회복과 관광자원화 사업’을 추진 중인데 우리 구도 이 사업에 적극 참여해 노량진과 여의도, 노들섬과 용봉정으로 연결되는 문화관광벨트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구청장은 올해를 이러한 변화를 구 전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원년으로 삼고 있다. 특히 서남권에서 유일하게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상도 4동에는 4년간 100억원이 투자된다. 이 구청장은 “당장 마을재생센터를 설립해 주민들이 기획 단계부터 참여해 최종적인 결정권을 갖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 지역의 고른 변화, 행복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강조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5-02-0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