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제 도입… 평균 이용료 5만원 내려, 경영 부실 ‘회원제’ → 대중 골프장 전환
11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런 방향으로 골프의 대중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골프장에서 필수 비용으로 관행화된 캐디와 카트 이용을 고객이 결정할 수 있는 캐디·카트 선택제가 도입된다.
카트 이용료가 대당 6만∼8만원, 캐디피는 팀당(4명 기준) 10만∼12만원이어서 골프 고객들은 그린피 외에도 1인당 추가로 5만원 정도를 더 내는 실정이다.
한국 골프장에서는 카트와 캐디를 쓰는 게 당연하다고 여기지만 미국은 고급 회원제 골프장 외에는 캐디가 없고 카트도 고객이 직접 운전한다.
정부는 캐디·카트 선택제를 공공부문 골프장부터 전면 도입하고 민간 골프장에는 도입을 유도하기로 했다. 골프협회 등도 캐디·카트 선택제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원제 골프장에 부과되는 체육진흥기금(1인당 3000원)도 일반 체육 예산이 아닌 골프 분야에 한정해 쓰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회원제 골프장에 부과되는 체육진흥기금은 1년에 390억∼400억원 수준이다.
정부는 다만 골프장업계가 강력하게 희망하는 세제 지원책은 내놓지 않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골프장에 세금 혜택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이용료가 비싼 회원제 골프장 중 법정관리나 도산 등으로 경영 상태가 부실한 곳을 대중 골프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골프장업계에 따르면 전국 500여개 골프장 가운데 80여곳은 빚이 자산보다 많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고 20여곳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대중 골프장은 회원제에 비해 세금 부담이 크지 않고 이용 가격도 1인당 평균 4만∼5만원 싸다. 영업이익률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