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졸업 뒤 1981년부터 전북의 한 시골 중학교에서 영어교사로 근무했다. 당시 초등학교까지만 의무교육이라 시골에서는 가정 형편 때문에 중·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흔했다. 송 소장은 이러한 학생들이 낮에는 공장 등에서 일하고 밤에는 산업체 고등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게 이끌어 주며 불우한 처지의 청소년들에게 더욱 관심을 갖게 됐다. 그러던 중 1986년 7급으로 특채돼 서울소년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소년원 근무 초창기 담임을 맡았던 제자와는 20년 넘게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어머니의 가출로 알코올 중독인 아버지와 지내다 소년원에 온 제자였다. 후원자를 연결해 주고 야간고교에 다니도록 지원했다. 그 학생은 성인으로 자라 지금은 제주도에 살며 어엿한 가장이 됐다. 안양소년원 근무 당시에는 매주 토요일 학생들과 한 등산이 108차례에 달한다. 소년원에 있던 아이들 120여명과 적어도 한 번씩은 함께 산에 오른 셈이다. 그는 “외출이 자유롭지 않았던 아이들이라 등산을 좋아했다”며 “적응에 힘들어 하다가도 등산 뒤 힘을 내는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승진과 함께 충남 공주의 치료감호소 행정지원과장으로 임명된 송 소장은 “그간 경험을 살려 감호소에서도 입소자들이 사회에 복귀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힘쓰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03-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