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硏 겉창용 신소재 세계 첫 개발 내마모성·복원력 높아 국내외 호평
기존 고무를 대체할 신발 겉창용 신소재가 세계 최초로 개발돼 신발산업의 제2 전성기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된다.이 신소재는 마모성과 접지력이 우수하고 복원력과 충격흡수 등 신발 겉창에서 요구되는 특성이 뛰어나다. 기존 가황고무와 유사해 신발을 신었을 때 느낌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200% 이상 향상됐으며, 100% 재활용할 수 있다. 또 액체 상태의 고무에 열을 가해 고체로 만들어 사용하던 기존 프레스 공정 대신 재료를 틀로 찍어내는 사출성형공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산성을 800%까지 끌어올리고 에너지 사용은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겉창 1족을 만드는 데 걸리던 시간도 5분에서 30초로 단축된다.
고무로 만드는 겉창 제조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고 공정이 복잡해 신발산업의 작업환경은 열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독일의 바스프와 미국의 루브리졸 등 세계적인 화학 및 신발업체들이 대체소재를 개발했으나 상용화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발피혁연구원은 지난해 트렉스타, 학산 등 국내 5개 신발업체와 공동으로 기존 사출소재로 제조하기 어려운 테니스화와 배드민턴화 등에 신소재를 적용해 성능 검증을 마쳤다.
배종우 선임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된 신소재는 다양한 시제품 평가에서 국내외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아 15건의 기술이전 및 기술료 계약을 체결했다”며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 상승으로 중국과 동남아에 뺏겼던 신발산업의 제2 붐을 일으키며 세계로 재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하반기까지 신발협회 및 신발업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연구소기업을 설립, 신소재의 사업화에 나선다.
부산 오성택 기자 fivestar@seoul.co.kr
2015-04-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