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안주엽 연구위원 분석
|
1차 하청업체는 291만 1000원, 2차는 286만 1000원, 3차는 236만원으로 아래 단계 하청으로 내려갈수록 임금 수준은 낮았다. 노동조합 가입률도 원청업체는 39.2%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1차 하청업체는 7.7%, 2차 하청업체 4.1%, 3차 하청업체 2.8%로 조사됐다. 원·하청의 차별은 상여금과 퇴직금 적용률에서도 나타났다. 원청업체는 거의 모든 노동자가 상여금과 퇴직금을 받는 반면 하청업체의 경우 상여금은 68.9%, 퇴직금은 86.9%만 적용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원·하청 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SK하이닉스의 관계자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문유진 SK하이닉스 노사협력실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원·하청 간 심각한 임금 격차를 노사 모두 알고 있었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공유한 것이 원동력이 됐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는 최근 임금 인상 재원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노동조합이 양보하고 회사는 그에 상응하는 재원을 추가 출연해 총 66억원 규모의 원·하청 상생협력기금을 마련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7-1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