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군 공항 확보 어려워 실현 여부는 미지수
광주시는 19일 서구 5·18교육관, 광산구 우산동 주민자치센터에서 군 공항 이전 시민 설명회를 했다.
이전 계획안은 831만㎡에 달하는 공항 부지를 서남권의 중추적 신도시(솔마루시티)로 개발하는 게 주된 내용이다. 일자리가 풍부한 경제도시, 삶의 여유가 있는 문화도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푸른도시로 재창조한다는 비전을 담았다. 신도시는 인근 평동, 하남 등 산업단지, 혁신도시, KTX 송정역 등의 입지를 십분 활용, ‘호남권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된다.
전남북의 접근성 등을 살려 ‘광역권 차원의 복합상업도시’로 특화 개발되며 고품격 주거단지, 영산강·황룡강을 활용한 친환경 수변도시로 조성된다.
광주시는 지난해 10월 군 공항 이전을 위한 첫 단추로 국방부에 ‘광주 군 공항 이전 건의서’를 제출한 바 있다. 연말쯤 수정한 최종 건의안을 제출하고 나면 국방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전 타당성 등에 대해 평가를 한다. 타당성 평가를 넘으면 본격적인 이전작업이 진행된다.
광주공항 이전 방식은 광주시가 새로운 군 공항을 마련해 주고 기존 부지를 개발해 그 비용을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이다. 광주시는 최소 5조∼6조원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전 예상 사업비 3조 5000억원에서 훨씬 늘어난 것이다.
우선 국방부로부터 이전 평가에 대한 적정 판정을 받느냐가 선결 과제다. 개발비용 마련 등이 여의치 않으면 적정 판정은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대체 군 공항 후보지를 마련하고 건설해야 하는 부담이다.
전형적인 기피시설인 만큼 후보 지자체와 주민들의 설득이 최대 관건이다. 실제로 국방부 타당성 평가를 통과한 수원 공군비행장의 경우도 예비 이전후보지로 언급된 지자체가 벌써 반발하는 등 애로가 적지 않다.
세부적 일정으로는 2016~2017년 이전 후보지 선정, 2017~2022년 새로운 군 공항 건설, 2022~2025년 이전 주변지역 지원사업, 2021~2025년 종전부지 개발 등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대법원의 군 공항 소음 판결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며 “내년 상반기 이전 건의서 평가에서 ‘적정’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