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전 4종→ 12종 서식
강원도 영월의 ‘한반도 습지’가 2012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수달과 담비, 남생이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발견된 멸종위기종은 수달(1급)을 비롯해 2급인 백부자·층층둥굴레·남생이·구렁이·묵납자루·가는돌고기·돌상어·흰목물떼새·삵·담비·무산쇠족제비 등이다.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한반도 습지에서는 육상과 수생태계에서 동식물 871종이 서식해 2009년(387종)에 비해 생물 다양성이 크게 증가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사람의 출입과 채취 등의 행위가 제한돼 야생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지가 조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재입증했다. 한반도 습지는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일원(옹정·신천·후탄리) 277만 2482㎡로 생물 다양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자연·경관적 요소를 보유하고 있는 하천습지다.
한편 환경과학원은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5년마다 지형과 식생, 동식물상 등 12개 분야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1-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