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여성정책硏 모니터링
|
여성가족부는 24일 여성의 경력유지 및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모니터링 성과포럼을 개최해 분야별 정책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여가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문화콘텐츠, 산업 연구개발, 정보문화기술 등 3개 분야가 다른 직종에 비해 여성인력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설문, 심층면접 등의 방법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3개 직종에서는 현재 여성고용률이 낮고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일·가정 양립정책 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인력 비중은 2012~2013년 기준으로 캐릭터 48.1%, 애니메이션 41.6%, 게임 26.1%, ICT 18.0%, 산업 R&D 13.8%로 조사됐다.
문화콘텐츠 분야는 여성 인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5년 이상 꾸준히 경력을 쌓은 여성 인력 비중(20.9%)이 남성(38.4%)보다 낮았다. 특히 경력이 짧은 여성 인력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다 출산·육아휴직 등 제도적 기반조차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인력 가운데 68.7%가 미혼자였고, 임신한 이후에도 일하는 경우는 29.7%에 불과했다. 3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응답자의 43.2%가 ‘임신한 여성 인력은 모두 퇴사했다’고 답했다. 또 출산휴가 사용 일수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16.0%가 ‘출산휴가 제도가 없다’고 답했고, 사업체 가운데 69.3%는 ‘육아휴직 제도가 없다’고 응답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출퇴근제 도입과 유연근무제 확산, 보육시설 확충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했다.
김종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고용연구센터장은 “기업들은 장기간 육아휴직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재택근무나 원격근무 등 유연근무제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재취업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11-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