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여행사 퇴출해도 효과 미미
문화체육관광부가 중국 저가 단체관광의 폐해를 뿌리 뽑기 위해 오는 10일부터 ‘합동대응팀’을 상시 운영한다. 중국 전담여행사와 단체관광객 중점 이용 업소들이 집중 점검·단속 대상이다. 아울러 외래관광객이 한국에서 바가지요금 등 손해를 입었을 경우 이를 한국 재방문 시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로 배상하는 제도를 내년부터 관광업계와 공동으로 운영한다.김종 문체부 제2차관은 7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저가 단체관광 대응방안’을 밝혔다.
정부가 이처럼 고강도 압박에 나선 건 한국관광 만족도가 전년에 비해 하락하고 개별여행자보다 단체관광객의 만족도가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나온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중국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가 2014년 94.8%에서 2015년 94.1%로 0.7% 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음식 부문의 경우 개별관광객은 87.8%인 것에 견줘 단체관광객은 79.1%로 무려 8.7% 포인트나 낮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지난 4월 1일부터 불법 중국전담여행사 상시 퇴출제 시행 및 한국여행업협회 신고포상제 지원 등을 추진했지만 효과가 미미했던 것도 이번 조치의 단초가 됐다.
또 단체관광 상품 품질 인증제 시행 등 관광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노력도 병행한다. ‘마일리지’ 배상 제도가 그중 하나다. 전문 통역안내사 양성도 추진된다. 3년 이상 통역안내 서비스에 종사한 통역사를 대상으로 70시간의 교육을 거쳐 의료, 동계스포츠, 세계문화유산 전문 통역안내사로 육성할 방침이다. 외래관광객을 위한 ‘불편신고 통합시스템’은 오는 10월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바가지요금 등 불법영업행위를 휴대전화로 신고하면 처리현황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6-0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