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Tech+City’ 조성 계획
기업·인재 교류형 기술 생태계300만㎡ 규제 완화 등 지원
서울시가 양재·우면동 일대 300만㎡를 미국 뉴욕의 테크 트라이앵글이나 독일 베를린의 아들러스호프 같은 세계적 혁신거점으로 조성한다.
서울시는 이 지역을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지정해 75만㎡(63빌딩 4.5배) 규모의 R&CD 공간을 만들고 규제를 완화해 일자리 1만 5000여개를 창출하는 내용의 ‘양재 Tech+City 조성계획’을 3일 발표했다. R&CD(Connect Development)는 대기업 중심의 연구·개발(R&D)을 넘어서 다양한 규모의 기업·인재 간 교류를 통해 창의적 인재가 선호하는 기술개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지정될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들어오는 R&CD 연구시설, 공공 핵심시설에 용적률·건폐율을 기존보다 최대 50% 늘려 주는 등 각종 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또 하반기부터 한국화물터미널·양곡도매시장·화훼공판장 등으로 30년 넘게 ‘유통업무설비’로 묶여 있던 부지 42만㎡에 대한 도시계획시설 해제가 허용된다.
이렇게 되면 영세 중소기업을 위한 값싼 임대공간, 교육연구시설, 컨벤션·호텔·문화전시·공연장 등이 들어설 수 있다. 시는 지난해 10월 ‘서울 일자리 대장정’에서 ‘도심형 R&D 혁신지구’ 조성계획을 발표한 뒤 연구용역을 거쳐 구체적인 개발안을 마련했다.
시는 양재·우면 지역을 ▲R&CD 코어 권역(aT센터·양재시민의 숲 일대) ▲지역특화혁신권역(중소 연구소 밀집 양재2동 일대) ▲지식기반상생권역(대기업 연구소·공공부지 일대) ▲도시지원복합권역(양재IC 일대) 등으로 나눠 관리할 계획이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6-08-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