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금사과’… 늦더위에 생육 나빠 가격 고공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울릉도 이틀 간 300㎜ 폭우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팔당서 수돗물 공급받는 인천, 서울시보다 3배 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남 의대 1곳·대학병원 2곳 세운다, 동·서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쏙의 습격과 갯벌 감소로 서해안 바지락 생산 급감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서해안 갯벌에 쏙이 대량 서식하면서 바지락이 사라지고 있다.

15일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에 따르면 1990년 7만 4581t에 달했던 바지락 생산량이 2000년에는 3만 8909t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지난해에는 2만 5517t으로 줄어드는 등 25년 만에 66%나 줄어든 셈이다.

바지락은 서해안 갯벌에서 양식하는 조개류 생산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어민들의 중요한 소득원이다. 바지락 생산량이 급감한 것은 연안매립이나 하굿둑 건설 등으로 바지락 서식처가 많이 사라졌고 2000년대 이후에는 쏙이 급속히 서식지를 넓혔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지난 20년간 서해안 갯벌은 20%에 해당하는 710㎢가 감소했다. 특히 인천에서 전북에 이르는 서해안의 바지락 어장 1만 2319ha를 조사한 결과 41.6%인 5126㏊에서 쏙이 대량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시화지구, 금강하굿둑, 천수만 주변 등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안 매립과 하굿둑 건설로 육상에서 모래와 자갈 유입이 끊겨 갯벌이 진흙으로 바뀌면서 쏙이 살기 좋은 환경으로 바뀌었다는 분석이다. 바지락은 진흙, 모래, 자갈이 섞인 갯벌에서 주로 산다.


태안 앞바다서 바지락 캐기 한창
11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황도 앞바다 갯벌에서 어민들이 바지락을 캐고 있다. 태안군은 내년 말까지 황도 앞바다 갯벌에 3억원을 들여 명품 바지락 단지가 조성할 계획이다.
태안=연합뉴스
갯벌에 구멍을 뚫고 사는 쏙이 많아지면 바지락 등 다른 조개류는 살 수가 없다. 갯벌연구센터는 “쏙은 자라면서 구멍을 넓고 깊게 파기 때문에 쏙이 대량 서식하는 갯벌은 마치 연탄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서 쏙이 침범한 지 3년이 지나면 바지락 같은 조개류가 살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갯벌연구센터는 쏙의 습격으로 인한 바지락 생산 피해액이 연간 135억원에 이르며, 지금 같은 상태가 방치되면 머지않아 서해안 갯벌에서 바지락을 보기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했다.

수산과학원은 바지락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지만 현재 뾰족한 대책이 없다. 구제 방안으로는 쏙이 대량 서식하는 갯벌을 깊이 25∼30㎝ 갈아주는 게 그나마 효과가 있지만 한 번으로 해결되지 않아 쏙이 사라질 때까지 해마다 반복해야 한다. 갯벌을 갈아주면 구멍이 망가져 쏙이 위쪽으로 올라올 때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잡아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정부가 일부 어촌계를 대상으로 쏙 구제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비용의 20%를 어민들이 부담해야 한다.

갯벌연구센터는 “쏙 구제 효과를 높이려면 정부가 예산지원을 늘려서 어민 부담을 덜어주는 게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