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산불 지도’ 제작
국내에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곳은 인천과 서울, 울산 등 도심지역으로 나타났다. 산불 원인이 주로 사람의 실수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산림 면적이 적지만 산을 찾는 이들이 많은 지역이 산불다발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또 동해안과 남해안 일부 지역의 산불 발생 위험도 높았다.산불지도에 따르면 남한지역의 10.0%가 산불다발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산불다발위험지역은 4단계로 나뉘는데 1㎢ 내 산불 발생건수가 0.25건 미만이면 ‘징후 없음’, 0.25~0.50건 미만은 ‘주의’, 0.50~0.75건 미만은 ‘경계’, 0.75건 이상은 ‘심각’으로 분류된다. 7.7%가 ‘주의’ 단계에 해당됐고 ‘경계’ 1.2%, ‘심각’ 1.1%로 나타났다.
과학원은 산불지도를 활용해 산불조심기간에 산불감시원과 진화인력, 산림헬기 등을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2-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