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장 823명 중 한 명에 불과
서훈 재조정안 본회의 못 넘어유족 “친일파 농단에 밀려” 주장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상징인 유관순(1902∼20) 열사의 독립운동 서훈등급이 ‘3등급’밖에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1일 충남 천안시에 따르면 유 열사가 받은 서훈은 독립장(3등급)이다. 김도현, 김마리아 등 823명 중 한 명일 뿐이다.
명성으로 보면 김구, 이승만, 안창호, 안중근 등 30명이 포함된 1등급 대한민국장과 신채호, 신돌석, 이은찬 등 93명이 들어간 2등급 대통령장과 비교해 초라하다는 지적이다. 유 열사는 1919년 이화학당 재학 중 휴교령이 발령되자 고향 천안에 내려온 뒤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붙잡혀 옥사했다.
3·1운동 98주년을 맞아 아우내봉화제(충남 천안), 3·1 독립운동 희생선열 추모식(서울 탑골공원) 등 각종 기념행사가 열렸지만 만세운동을 주도한 대표인물 유 열사의 훈격은 변화가 없다. 정부가 1962년 독립유공자의 훈격을 결정한 뒤 수차례 조정 필요성이 제기됐고, 서훈 재조정을 골자로 한 ‘상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됐지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2015년 9월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유관순 열사 추모각 화환식에 참석했던 유 열사의 조카 유제양(80·서울 답십리동)씨는 “친일파의 농단으로 고모의 훈격이 3등급으로 밀렸는데 아직도 그대로”라며 “원래 1등급으로 책정됐다가 이런저런 이유로 밀렸다고 들었다. 3·1운동을 대표하는 유관순 열사의 훈격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천안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7-03-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