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대해 송도선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16일 “간경변증이나 간암과 같은 심각한 간질환을 일으키는 숨은 복병은 바로 B형 간염”이라며 “대한간암학회 분석에 따르면 간암 환자의 72%는 B형 간염이 원인이고 C형 간염이 11%, 술과 관련된 알코올성 간질환이 10% 정도”라고 설명했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어머니와 신생아 사이의 수직감염, 수혈·성관계·상처를 통한 감염 등 주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가장 큰 문제는 간이 ‘침묵의 장기’라는 점이다. 바이러스성 간염과 같이 서서히 진행하는 간질환은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다. 그래서 당장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으면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라는 진단을 받고도 병을 방치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송 교수는 “본인도 자각하지 못하는 동안 간 조직이 점점 딱딱해지는 간섬유화가 누적되고, 결국 간경변증과 간암으로 진행하고 나서야 발견할 때가 많다”며 “만약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라면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증식 상태를 확인하고 간염이 활성화되는 시기에 적절히 치료해 간질환으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항바이러스제 꾸준히 복용해야
다행히 B형 간염은 예방이 가능하다. 1995년부터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 국가예방접종사업이 시작됐다. 덕분에 20세 미만 연령에서는 B형 간염 환자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유병률이 낮아졌다. 송 교수는 “간암 환자의 80% 이상은 B형 간염 예방접종 이전 세대인 40대 이상에서 나타나고 있어 B형 간염 관리는 여전히 중요한 이슈”라고 지적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4-17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